김창환 한국선물협회장은 23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현·선물 분리원칙에 따라 선물거래소가 만들어진 지 5년밖에 안된 시점에서 현물시장과 통합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선물시장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선 현 체제가 유지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최근 불거진 지주회사 방식의 현·선물시장 통합방안은 지분 확보에 유리한 증권거래소측의 선물시장 장악 의도에서 나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KOSPI200지수선물의 선물거래소 이관은 법과 정해진 일정에 따라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수선물 이관은 선물시장 발전 측면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수수료 수입을 차지하기 위해 이 문제를 다뤄선 안된다는 게 선물협회의 주장이다. 김 회장은 이와 함께 지수선물이 이관되면 개인투자자의 투기적 매매를 막을 수 있는 자율적 규제방안을 찾겠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 지수선물·옵션시장은 개인의 단타매매로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원래 기능인 현물거래의 위험을 헤지하기 위한 시장으로 만들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업계 자율규제 차원에서 수수료나 증거금률 인상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