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쓰레기 소각량이 하루 50t 이상인 대형 소각장 가동률이 84.3%에 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는 평균 29.4%에 머물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환경부에 따르면 서울 양천소각장(하루 처리능력 400t) 가동률은 작년 12월말 기준 51.1%로 절반을 약간 웃돌고 있고 노원소각장(" 800t)은 21%, 강남소각장(" 900t)은 16.2%에 불과하다. 소각장 세곳의 작년 평균 가동률은 29.4%(518.4t)로 재작년 39%(822t)에 비해 낮아졌다. 따라서 서울에서 하루 발생하는 생활쓰레기 1만1천여t 가운데 재활용되는 5천여t과 소각되는 518.4t을 뺀 나머지 5천여t은 매립되는 셈이다. 주변 자치구의 이용을 허용하는 쓰레기 광역화가 이뤄질 경우 80%대의 가동률 유지로 연간 55억원 이상의 예산 절약과 수도권매립지 사용기간 연장이 가능하지만 주민들의 반대와 소각.매립 비용의 차이 등으로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방에서는 쓰레기광역화가 이뤄진 곳이 많지만 서울의 소각장에서는 구내 쓰레기만 처리되고 있다"면서 "자치구 이기주의로 쓰레기광역화에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또 쓰레기 소각에는 t당 4만5천∼5만원의 비용이 들지만 매립에는 이의 30% 수준인 1만6천원 밖에 들지 않는다는 점도 소각보다 매립을 부추기는 이유로 꼽히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심규석기자 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