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보스 포럼 이틀째] "정부규제는 전쟁만큼 위협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제33차 세계경제포럼(WEF·일명 다보스포럼) 둘째날인 24일 포럼 참석자들은 △세계경제에서 IMF의 역할 △최고경영자 보수문제 △이머징 마켓에서의 기업 지배 구조 등을 주제로 열띤 토론을 벌였다.
이에 앞서 열린 첫째날 포럼에서는 이라크문제와 관련한 미국의 일방주의적 외교노선이 세계경제의 회복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다.
○…개막행사 직후 이어진 주제별 포럼에서는 정부의 과잉규제가 전쟁만큼이나 세계경제에 위협적이라는 조사 결과가 발표돼 주목을 받았다.
컨설턴트업체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는 지난해 10월부터 올 1월까지 전세계 최고경영자(CEO) 9백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계경제전망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이같이 지적했다.
CEO의 49%가 정부의 과잉규제를 전쟁에 '필적하는 위협'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응답자의 48%는 '테러와 전세계적 전쟁이 세계경제에 중대한 혹은 가장 큰 위협의 하나'라고 주장했다.
○…올 미국경제에 대한 전망은 엇갈렸다.
컨퍼런스보드의 게일 포슬러 수석연구원은 "올해는 미국 경기 회복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낙관론을 폈다.
미국과 이라크간 전쟁이 일어나면 원유값 급등으로 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치겠지만,이는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감세 정책으로 충분히 상쇄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모건스탠리의 스티븐 로치 수석연구원은 "정보기술(IT) 버블 붕괴 후 미국 경제는 통상적인 경기 순환 이상의 불황에 시달리고 있어 전통적인 재정금융 정책만으로 경기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비관적인 전망을 했다.
그는 △감세정책에 따른 재정적자 확대 △주택붐의 한계 △저축률 저하 △민간 부문의 과잉 채무 등을 그 이유로 내세웠다.
○…포럼 참석자들은 오늘날 세계경제의 강력한 추진력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향후 2년간 세계경제 성장전망치의 2배를 넘는 7∼8%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특히 게일 포슬러 수석연구원은 전세계 국내총생산(GDP)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율이 2020년께 유럽연합(EU)을 능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보스(스위스)=강혜구 특파원 bellissim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