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환경 中보다 못해" .. 능률協 CEO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영자들은 우리나라의 기업환경이 중국보다도 못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선 규제를 완화하고 예측가능한 경제환경을 만들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27일 한국능률협회가 발간하는 월간지 'CHIEF EXECUTIVE' 2월호가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 1백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기업하기 좋은 나라 점수를 묻는 질문(미국을 1백점으로 할 때)에 CEO들은 한국을 71.8점으로 평가했다.
이는 일본(81.8)은 물론 중국(76.7)보다도 낮은 것이다.
CEO들은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기 위해선 규제완화(30.7%)가 가장 중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예측가능한 경제환경(22.7%) 노동의 유연성(21.8%) 투명성 향상(10.9%) 정책 일관성(6.9%) 등을 들었다.
새 정부의 정책 방향과 관련해 분배보다는 성장을 중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성장과 분배의 비율을 6 대 4 정도로 해야 한다가 28.6%, 7 대 3으로 해야 한다가 26.7%를 각각 차지했다.
이어 5대5(21.9%) 4대6(13.3%) 3대7(3.8%) 8대2(3.8%) 9대1(0.9%) 등의 순이었다.
성장과 분배를 같은 비율로 답한 응답자(21.9%)를 제외하면 성장에 무게를 둔 응답자(60.9%)가 분배(17.1%)보다 세 배 이상 많았다.
새 정부의 최대역점 과제에 대해서는 노동 유연성(17.6%)을 가장 많이 꼽았고 성장 인프라 확대(16.7%) 중소기업 육성(16.7%) 투자 활성화(14.7%) 신산업 육성(9.8%) 등을 들었다.
경제부문 개혁과 관련해선 규제 개혁(53.3%)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했고 다음으로 경제시스템 개혁(28.6%) 세제 개혁(11.4%) 금융 개혁(6.7%) 등을 꼽았다.
최고경영자들은 경제 관료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전문성(25.0%)과 변화관리 능력(20.2%)을 많이 거론했다.
도덕성(14.4%) 국제감각(12.5%)을 꼽은 경우도 적지 않았다.
반면 판단력(6.7%) 미래 비전(5.7%) 리더십(4.8%) 행정관리 능력(3.8%) 등은 소수 응답에 그쳤다.
권영설 경영전문기자 yskw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