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27일 대구지역 국정토론회에서 "정부안에 서로 의견이 다른 사람을 모으면 정책이 입안과정부터 손발이 안맞고 비효율적으로 된다"고 말해 새 정부 장관인선의 방향에 대해 언급했다. 노 당선자가 이날 "정치적 견해와 경제·노사에 관해 의견이 서로 다른 사람을 정부안에 모두 끌어넣으라는 제안은 실현하기 어렵다.(그런 요구는) 정부를 하지 말라는 말과 같다"고 말한 것은 그동안 '통합·안정'을 강조한 기조와는 다소 거리가 있어 주목된다. ◆새 정부 조각 '변화 개혁형' 될까 "내각이 손발을 제대로 맞춰야 한다"는 말만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향후 인사에서 주요 기준점은 노 당선자와 철학을 공유할 수 있는 '개혁성'에 초점이 맞춰지게 된다. 안정·신중론자들이 설 자리는 좁아지는 셈이다. 인선 단계에서 보수성향의 인사는 배제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그렇다고 해서 여론의 목소리나 국민 다수의 요구가 묵살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노 당선자는 "(내각이 손발을 맞춰나가도)한쪽의 의견만이 일방적으로 관철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행정부 안에서 한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을 뿐 야당과의 관계 등 정치에서는 대화와 타협의 중요성을 분명히 밝혔기 때문이다. 그는 "가치관이 다른 정당 사이에서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합의를 만들고 타협해 가는 과정에서 정치와 정책이 발전했다"며 "국회와 여론을 통해 이견을 토론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나가는 게 민주적인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시말해 정부 내에서는 이견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목소리를 내되 여야관계,정책의 법제화 단계에서는 상대방을 존중하는 대화정치를 하겠다는 의사로 분석된다. ◆구상대로 실현에 난관 예상 인사문제를 담당할 신계륜 인사보좌관 내정자의 얘기는 다소 다르다. 그는 "한국 풍토에서 지역이나 나이도 어느 정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며 "(당선자는 능력본위와 개혁성을 보자고 했지만)현실적 요인도 있지 않느냐"고 말했다. 공직사회에 대한 대대적인 물갈이 요구와 안정을 바라는 여론 사이에서 측근실무진이 고민하고 있음을 내비친 것이다. 신 내정자는 또 "장관은 모두 바꾼다는 것이 원칙이지만 적재적소의 훌륭한 인사를 뽑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해당 부문에서 뛰어나다는 평가를 두루 받는 인사라면 후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정원장 등도 교체하되 적임자찾기가 어려우면 대통령 취임식과 관계없이 현 원장이 임무를 계속 맡고 △국세청과 경찰청은 기관의 특성상 내부인사의 승진이 유력하며 △정치인(민주당) 입각은 배제한다는 원칙을 지키는 가운데 극소수 전문가만 기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허원순.김병일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