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당선자 광주.전남 순회 토론회] "경쟁력 보여야 재정지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28일 '지방분권 및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전국 순회토론회'두번째 지역인 광주를 방문해 지역여론을 수렴하고 지방분권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광주는 지난해 민주당 대통령후보 경선에서 노풍(盧風)의 진원지가 됐으며 대선 때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95.2%)을 기록해 '노무현 대통령'의 산파역할을 한 곳이다.
○…광산구 중소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토론회에는 지역교수와 시민단체 관계자 1백여명이 참석해 지역현안 사업에 대한 노 당선자의 지원을 요청했다.
일부 인사들은 광주.전남의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노 당선자의 '특별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노 당선자는 "특정지역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은 주관적인 것이며 기준을 정하기도 어렵다"고 잘라말하고 "지역 스스로 지역발전 전략을 만들고 아이디어를 내 프로젝트를 추진하면 재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방자치단체들 사이의 경쟁을 통한 재원 확보에 나서 줄 것을 당부했다.
그러나 노 당선자는 마무리 발언에서 "의심을 하고 보면 끝이 없다. 지난 번에 나왔던 후보 중에 (광주.전남에) 제일 잘해 줄 사람이 노무현 아닌가. 도와주시면 열심히 해보겠다"고 말해 광주.전남지역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노 당선자는 전남도청 이전문제로 광주시와 전남도가 갈등을 빚고 있는 문제와 지역감정에 대한 해법을 제시했다.
노 당선자는 "지역감정은 대단히 정서적인 문제로 과거 영호남 지역감정은 부당한 것이 억압이 돼 돌아오는 결과가 됐기 때문에 투쟁적 관점에서 풀어왔다"고 전제하고 "지금은 억압이 아니라 오해와 편견이라는 관점에서 끊임없이 설득해 풀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노 당선자는 또 부산신항만의 사례를 제시하며 정치인이 지역갈등을 부추기는 현상을 경계했다.
그는 "신항만을 만들면 경남과 부산이 혜택을 골고루 받으며 경남이 더 많은 혜택을 누리도록 돼 있었지만 로비는 부산시만 했다"며 "그러나 마지막에 항만이름을 결정할 때 경남은 '부경신항만'이나 '부진신항만'으로 하자고 주장했다"며 지역이기주의의 단면을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름을 그렇게 지으면 경남에 실질적으로 돌아가는 이득이 뭐냐고 질문하면 그들은 대답을 못한다.
이런 일을 꾸미는 것은 정치인들이며 이러면 새로운 지역감정이 싹튼다"며 지역감정이 싹트는 과정을 적시했다.
이와 관련, "시민들의 실질적인 이해관계가 뭔지를 파악하고 서로 협의하면 지역감정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도청이전 박람회 등의 문제는 양측이 토론을 통해 결론을 내야 할 것"이라며 "결론을 내리지 못하면 양측 모두에게 손해가 될 것"이라며 대화를 통한 화합을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지역 현안사업 지원요청과 지역민원성 요구가 쏟아졌다.
전남대 이병태 교수는 "미래의 적절한 시점에 지방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어려운 지역에 대해서는 과감하고 적극적인 차등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광주일보 지형원 논설위원은 "문화수요를 창출하지 않고는 문화인프라와 산업을 육성한다 해도 지역문화는 발전할 수 없다"며 "스페인 밀바오 미술관 같은 문화발전소와 전국 유일의 석.박사과정 코스인 5년제 예술전문대학원을 (광주에) 건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여수상공회의소 박용화 회장은 2012년 인정박람회 여수 유치, 율촌산업단지와 여수산업단지에 대한 정부 지원, 여수 남해 교량건설 인프라 확충 등 여수.광양.진주권 발전방안을 내놓기도 했다.
광주=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