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원은 다음달 4일 북핵청문회를 열어부시 행정부의 북핵정책 전반을 집중 추궁한다. 상원 외교위는 이날 오전 9시 30분(현지시각) 상임위 회의실에서 국무부 고위당국자를 비롯한 북핵 관련 행정부 관계자들을 출석시킨 가운데 북핵 청문회를 개최하고 북핵 위기를 해소하기 위한 외교ㆍ정치ㆍ군사적 해결 방안 등을 심도있게 점검한다. 상원 북핵청문회는 제108대 의회 출범 이후 첫 북한 관련 청문회로 이를 계기로의회가 부시 행정부의 북핵 기조에 대한 점검과 견제에 본격 나설 것으로 전망돼 청문회 내용과 결과가 주목된다. 이번 청문회에서는 북핵 사태와 관련한 한미관계 재정립, 주한미군 주둔군지위협정(SOFA) 개정문제, 북핵 현안과 관련한 한국내 반미기류, 한국 새정부 출범을 계기로 한 한미관계 등 한반도 현안이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주미대사관 당국자는 28일 "상원 외교위 북핵청문회가 2월4일 하루 일정으로 개최된다"며 "콜린 파월 국무장관 등 부시 행정부의 북핵 관련 고위당국자들이 출석할것으로 예상되나 아직까지 청문회 출석인사들이 최종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리처드 루가(공화.인디애나) 상원 외교위원장은 앞서 북핵청문회 개최와 관련해"북한을 고립시키는 정책에는 반대한다"면서 "한국, 일본, 중국 등 주변국과 협력해이 문제를 풀 수 있다고 본다"고 강조한 바 있다. 공화당내 대북 강경파와 달리 온건노선을 견지하는 루가 의원은 "미국과 북한은비록 북한이 핵 계획 시인으로 지난 1994년 제네바 기본합 의서를 위반했다 하더라도 북한의 핵 미사일 계획을 규제했던 제네바협정같은 형태의 핵합의를 유지해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 상원은 북핵청문회에 이어 2월 6일 파월 국무장관을 출석시킨 가운데 외교정책청문회를 열어 이라크사태를 포함해 북핵위기 등 미국의 대외정책 전반을 총점검할 예정이다. (워싱턴=연합뉴스) 김성수 특파원 ks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