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한나라당은 30일 현대상선의 대북송금과 관련,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면서도 국회 국정조사와 특검제 도입, 관련자 책임문제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한나라당은 특히 문희상(文喜相) 청와대 비서실장 내정자의 언급에 이어 설 연휴를 앞둔 시점에서 감사원의 감사 결과 발표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사법심사부적절' 발언 등이 잇따라 나온 것은 현 정부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측이 사전교감하에 사건을 적당히 은폐하려는 의도라며 대통령의 책임 문제를 거론했다. 박종희(朴鍾熙) 대변인은 성명에서 "이 정권이 최대 치적으로 내세웠던 6.15 남북정상회담이 돈으로 산 것이 확인됐다"며 "당시 박지원 문광부장관이 대통령 특사자격으로 정상회담 성사를 위해 비밀접촉을 해온 점과 당시 임동원 국정원장의 역할 등으로 미뤄 대통령도 이 사실을 알았을 게 분명하다"며 해명과 사과를 촉구했다. 그는 특히 김 대통령의 `사법심사 부적절' 입장과 관련, "의혹 자체를 덮겠다는 발상으로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제 대통령은 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대북 뒷거래의 총액과 그 자금조성 내역, 전달횟수와 경위 등을 구체적으로 소상히 밝히고 정치적, 사법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영일(金榮馹) 사무총장은 주요당직자회의에서 "현대상선 대북지원 문제와 관련, 얼굴없는 여권관계자를 인용해 남북정상회담 직전에 2억달러를 송금했다는 보도가 나왔다"며 "검찰이나 감사원이 제대로 밝힐 수 없다면 이제 우리당이 요구하는 특검과 국회 국정조사를 수용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문석호(文錫鎬)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대북 4천억원 지원설을 포함해 국민적 의혹 사건에 대해선 철저한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게 우리당의 공식 입장"이라고 말했으나 국정조사와 특검제 도입에 대해선 "일단 검찰수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선 검찰수사, 후 국조 논의' 입장을 밝혔다. 이재정(李在禎) 의원도 "국민의 의혹이 없도록 분명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그러나 남북 화해협력을 위한 지원이 사실이라면 사법처리 대상으로 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동교동계 김옥두(金玉斗) 의원은 "남북관계에선 여야를 떠나 국익 차원에서 모든 문제를 봐야하며 이를 정치 쟁점화하거나 정치적 유불리를 따져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조복래 김민철기자 mincho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