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내에 특수 물질을 넣으면 연골이나 뼈가 자라고,건물 벽에 페인트처럼 발라두면 태양 빛을 전기로 바꿔주는 나노 태양전지가 등장한다. 양자역학을 적용한 암호화 기술이 개발돼 어떤 도청도 불가능하게 만든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발행하는 '테크놀러지 리뷰' 최신호는 인류의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는 혁신적인 신기술 10개를 선정했다. 무선센서네트워크 수백만개의 초소형(AA사이즈 건전지 2개 크기) 센서를 설치해 상호간 정보를 무선으로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교통 기상 지진 건물압력 등을 정교하게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주사형 조직공학 체내에 주사로 특수 물질을 집어넣어 보통 세포로 자라게 하는 기술이다. 조직에 대한 거부반응이 적다. 현재 연골과 뼈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중이며,심장이나 허파 세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나노 태양전지 태양 빛을 전기로 바꾸는 태양전지는 제조 비용이 비싸 경제성이 떨어진다. 태양전지 제조에 나노 기술을 적용,이를 페인트나 플라스틱 포장지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메커트로닉스 자동차의 기계장치를 전자적으로 바꾸는 것으로 이미 자동차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앞으로는 브레이크와 같은 기계 장치도 모두 전자로 제어될 것이다. 그리드컴퓨팅 '그리드 프로토콜(통신규약)'을 사용해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소프트웨어 등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엄청난 응용프로그램을 가진 그리드 컴퓨터를 구축할 수 있다. 분자 영상기술 생체 내에서 활동중인 유전자나 단백질 분자 등을 직접 관찰할 수 있게 해줘 질병의 원인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암과 같은 질병의 조기 진단과 수술에 매우 유용하다. 나노 석판 인쇄기술 실리콘 및 금속 위에 직접 10나노 크기의 회로를 만드는 기술이다. 소프트웨어 품질보증 컴퓨터가 다운되는 주요 원인인 소프트웨어의 결함(bug)을 없앨 수 있는 기술로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와 개발도구가 연구되고 있다. 글라이코믹스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인 당(糖)을 이용,치료제를 개발하는 시도가 활발하다. 당은 당화(Glycosylation)되는 과정에서 단백질의 기능을 결정하거나 안정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양자 암호학 현대 정보사회에서 널리 이용되는 암호학에 양자역학을 접목했다. 양자계를 관찰할 경우 반드시 경보가 울린다는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이 기술은 암호 키를 광자(光子)형태로 보내 도청하려는 시도가 있으면 분극에 변화가 생겨 금세 알아챌 수 있다. 실리콘밸리=정건수 특파원 ks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