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비공개 국회증언 추진..盧 "국회.청와대 서로 양보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여권이 현대상선 북한자금지원 문제의 해법으로 관련 당사자들의 국회 비공개 증언을 제시하고 나섰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특검제를 통한 진상규명을 촉구하고 있는 데다 여론도 '선 사실규명,후 조치'를 요구하고 있어 이번 파장을 조기에 매듭짓는데 적지 않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노 당선자는 6일 "밝힐 것은 밝히되 조속하고,원만하게 매듭되기를 바란다"며 "이 문제로 우리 사회가 정쟁의 소용돌이에 빠지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고 이낙연 대변인이 전했다.
노 당선자는 또 "국회도,청와대도 이런 취지를 이해하고 양보할 것은 양보하면서 협조해 줬으면 한다"며 "국회가 적절한 수준의 결정을 내려 빨리 매듭지어줬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노 당선자의 한 측근은 "청와대에 대해 조속한 진실규명을 재차 촉구하면서 '국회를 통한 정치적 해결'을 재강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자금을 보낸 당사자들이 국회에서 사실을 모두 밝히되 필요하면 비공개 증언도 가능한 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그는 관련 당사자로 박지원 비서실장,임동원 외교안보 특보를 거명했다.
노 당선자측은 뚜렷한 대안없이 시간을 끌면 '은폐 의혹'을 받게돼 이들의 증언으로도 여론의 요구를 충족시킬수 없게 된다는 점을 감안해 조기해결에 나서야 한다는 시각이다.
문희상 비서실장 내정자도 전일 김대중 대통령의 '전모공개 불가' 입장천명에 대해 "뒤집어 보면 비공개로는 이야기할 수 있다는 것 아니냐"며 "비공개라면 대통령의 사람들이 (국회증언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정균환 원내총무도 "국회 상임위에서 관련자를 증인·참고인으로 불러 공개할 것은 공개하고 비공개할 것은 비공개해야 한다"며 같은 방식의 해법을 내세웠다.
이에 대해 청와대는 "국회의 논의를 지켜보고 있는 중"이라면서 명확한 입장표명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문제를 덮고 가지 못할 바에는 '관련자 국회 증언'이 현 상황에서 가장 나은 해법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해법을 여론과 한나라당이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김영근·허원순 기자 yg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