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과 프랑스가 이라크전 방지 대안으로 4개 주요기본원칙으로 구성된 이라크 무장 해제안을 공동 구상중에 있다고 독일 시사주간 슈피겔이 10일자 최신호에서 보도했다. 슈피겔은 익명의 정부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이라크 무장 해제안이 미국의 대(對)이라크 군사행동에 단지 반대한다는 것만으로 "충분치 않다"는 게르하르트 슈뢰더총리의 지시하에 입안됐다고 말했다. 프랑스와 독일이 구상중인 이라크 무장해제안은 ▲유엔군에 의해 사실상 이라크전역의 접수 ▲ 이라크 전역의 비행 금지 구역화 ▲ 유엔 무기사찰단원의 3배 증원▲ 대이라크 금수조처 강화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독일은 이라크 무장해제안을 실천에 옮기기 위해 향후 수년간 군대를 이라크에 파견한다는 것도 포함돼 있다고 슈피겔은 지적했다. 신문은 또 이같은 무장해제안이 중국과 러시아 및 유럽연합(EU) 현 의장국인 그리스에도 전달됐다고 밝혔다. 독일정부의 한 대변인은 이같은 보도에 대한 확인을 거부하면서도 이라크 문제를 군사적 방안이 아닌 평화적으로 해결하려는 대안에 대한 공감대가 널리 형성돼있다고 말했다. 독일과 프랑스가 이같은 대안을 마련하게 된 배경에는 유럽의 여타 국가들이 미국의 대이라크 군사행동에 지지를 보내고 있는 반면 양국만이 미국 정책에 반대하면서 고립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베를린 AFP.dpa=연합뉴스) dcpark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