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국내 기업의 북한에 대한 송금파문이 현재로서는 향후 국가신용등급 또는 전망 조정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재정경제부 고위관계자는 9일 "북한 송금 문제가 외국인투자자들에게 이례적인 일로 비추어지고 있지만 새정부 출범 이후로 전망되는 국가신용등급 전망 조정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 송금의 실체적 진실이 아직 확실하게 규명되지 않고 있고 미국의 경우에도 엔론 사태 등이 있었던 점 등을 고려할 때 이 문제가 무디스 등 신용평가회사의 신용등급 전망 조정에 중요한 변수가 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러나 북한 송금을 둘러싼 갖가지 의혹들이 외국인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재경부의 또 다른 고위관계자는 "국제통화기금(IMF) 관리 체제 이후 국내 기업들의 회계 투명성이 상당히 제고됐다는 게 외국인투자자들의 믿음이었다"며 "그러나현대 일부 계열사의 북한 송금 문제는 이같은 믿음을 무너뜨리기에 충분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무디스를 비롯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피치 등 세계적인 신용평가기관들은다음달 새 정부 출범이후 잇달아 방한, 한국의 경제상황과 북한 핵문제 등에 대해평가를 한뒤 국가신용등급 전망 조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서울=연합뉴스) 이경욱 기자 kyung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