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는 정부 각 부처가 운용중인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의 운용실태를 정밀 재평가할 방침이다. 특히 공정하고 객관적인 사업평가를 위해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선진국 R&D평가관리 체제를 도입하고 관련분야 외국인 전문가나 국내 연구계 인사들이 사업을평가토록 하는 `동료평가' 시스템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인수위 관계자는 10일 "연간 5조원이 넘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이 쓰이고 있지만 사업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체제가 없는 실정"이라며"금명간 확정할 국정추진과제에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운용실태를 점검하고 재평가하는 방안을 포함시킬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정보화촉진기금이나 산업기술개발, 공공복지, 기초분야 관련기금 등의 이름이 붙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이 많은데 운영상의 문제점이 없는지를 찾아 이를 개선하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국가연구개발 사업은 과학기술부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등 17개부처에걸쳐 100여개에 이르지만 부처간 중복투자와 자의적 평가 등으로 비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인수위는 이에따라 우선적으로 EU의 `프레임워크' 프로그램 등 선진국 R&D 평가관리 체제를 도입하고 새정부 임기내에 사업평가에 필요한 자료와 정보도 광범위하게 수집.축적할 방침이다. 인수위는 이를 통해 각 부처의 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연간 상시 모니터링체제를구축하고 중간 또는 사후평가 시스템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사후평가 단계에서 `동료평가' 시스템을 도입해 해당분야의 외국인 전문가나 국내 동료가 사업평가를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평가가 제대로 되려면 사업이 계속되는 중간에라도 평가를 실시해 다음 사업을 기획하는데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며 "아울러 과학자가 과학자를평가하고 `내가 평가하면 내가 평가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평가방식의 선진화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rhd@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