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개정된 국회법에 따라 일문일답식으로 진행된 10일 국회 정치분야 대정부 질문은 국회 본회의 운영의 생동감을 높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날 대정부 질문은 의원 한사람당 20분간의 질문시간이 주어졌고 국무의원은 즉석에 답변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질문에만 20분이 할당됐기 때문에 의원들은 크고 작은 질문을 합쳐 20∼30여개의 질의를 할수 있었다. 대신 보충질의를 없애고 분야별 질문자 숫자를 과거 10명선에서 6명으로 줄였다. 이날 질의에 나선 의원들은 처음엔 다소 어색해하기도 했으나,원고에 없는 즉흥 발언을 섞어가며 국무위원들의 답변을 이끌어 내려고 노력했다. 일부 의원들은 이러한 과정에서 북핵문제 한·미관계 대북송금의혹 등에 대한 질의때 자신의 '튀는 소신'을 밝히기도 했다. 국무위원들은 사전 배포된 질의원고를 토대로 답변을 준비했지만 원고보다 강한 어조의 즉흥적인 질문이 나오자 실수하지 않으려 애를 쓰는 모습이 역력했다. 예민한 질문에는 원론적인 답변으로 피해 넘어갔다. 이로 인해 당초 기대했던 것 만큼 심도있는 토론이 이뤄지지는 못했다. 이날 일문일답 형식의 본회의가 진행됐음에도 불구하고 국무위원들이 답변도중 정부측 실무자로부터 보충설명 내용을 담은 쪽지를 전달받기 위해 답변을 중단하는 장면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