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적자를 낸 국민 외환 등 5개 전업카드사들이 연체율 문제로 전전긍긍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이들 적자 회사중 올 1분기 연체율이 10%를 넘는 회사에 대해서는 오는 4월께 적기시정조치를 내릴 방침이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지난 1월중 카드 연체율이 작년말보다 오히려 1~2%포인트 높아져 적어도 2~3개사가 적기시정조치를 받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0일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 외환 우리 현대 롯데 등 5개 카드사는 지난해 각각 3백억~2천6백9억원의 적자를 냈다. 지난해 12월말 현재 이들 카드사의 연체율(1개월 이상)은 6.17~19%. 이중 현대카드는 작년 11월말 현재 연체율이 10.6%에 달해 획기적인 연체율 감축이 없는 한 경영개선권고(연체율 10% 이상이면서 적자인 회사)를 받게 될 전망이다. 또 국민카드도 작년말 연체율이 9.83%를 기록, 권고대상 기준에 근접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통상 연말에는 대손충당금을 많이 쌓아 연체율이 낮아졌다가 연초에 재상승하는 경향이 있다"며 "현대나 국민카드의 올 1월 연체율도 작년말보다 더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경영개선권고를 받은 카드사는 신규업무에 진출할 수 없으며 증자 및 감자가 제한된다. 롯데카드는 현대나 국민카드보다 더 강한 조치인 경영개선요구(연체율 15% 이상이며 적자)를 받게 될 전망이다. 롯데카드는 지난해 3백억원 이상의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며 연체율은 19%에 이른다. 경영개선요구를 받으면 신규영업과 차입이 제한된다. 외환카드와 우리카드는 지난해 대규모 적자를 냈지만 부실채권에 대한 대규모 상각을 실시, 연체율을 크게 낮춰 적기시정조치대상을 면할 전망이다. 한편 적자카드사가 속출하는 등 영업환경이 갈수록 악화되자 카드사 사장단은 지난 4일 여신금융협회에 모여 '긴급 대책회의'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사장단은 수익성 확보를 위해 가맹점 수수료 0%와 같은 과당경쟁을 자제키로 합의했다. 사장단은 또 "정부의 규제가 지나치게 엄격해 신용카드업의 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며 "여신금융협회를 통해 카드업 규제완화를 요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철규 기자 gra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