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률이 크게 하락한뒤 좀처럼 회복되지 않아 큰 문제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저축률이 20%대로 떨어진 건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상대적으로 저축여력이 큰 20∼30대 계층의 저축률이 전체 평균보다 더 낮은건 심각한 대목이다. 당장 작년 1∼3분기중 20대의 저축률을 보면 평균 저축률 25.9% 보다 훨씬 낮은 24.6%에 불과한 형편이다. 중장기적인 추세변화를 봐도 20대와 30대의 저축률은 지난 90년대 평균 30.9%, 30.1%에서 1998∼2002년중엔 각각 27.5%, 27.1%로 크게 떨어졌다. 물론 경제규모가 커지고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저축률 하락은 어느정도 불가피하다. 과거에 비해 소비자금융이 확대됐고 기록적인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있으며,정부가 내수주도 경기부양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데 따른 영향도 적지 않다. 하지만 최근의 '로또 열풍'에서 보듯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근면절약 정신이 퇴색하고 한탕주의가 만연한 탓도 적지 않은게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는 단순히 저축률이 낮아졌다는 점만이 아니라 국민소득수준이 비교적 낮은 저축률이 하락하기 시작했고 하락속도 또한 매우 가파르다는 대목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선진국들은 국내총생산(GDP) 기준으로 1인당 국민소득이 1만5천달러∼2만달러선에 이르렀을 때 저축률이 떨어지기 시작한데 비해,우리는 국민소득이 1만달러에도 못미치고 있는 형편인데 저축률은 벌써 크게 떨어졌다. 작년 1∼3분기중 저축률은 26.2%로 외환위기 전인 1996년에 비해 7.6% 포인트나 떨어진 수준으로서, 당장은 투자재원 부족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이대로 가면 조만간 외채증가 재정적자가중 기업투자제약 등 심각한 부작용을 불러올게 틀림없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삼성경제연구소 등이 적극적인 성장전략 추진을 주장한 것은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외환위기 이후 형편이 더욱 어려워진 저소득층의 소득증대와 고용확대를 위해서도 그렇고,경제성장 촉진 →저축여력 확대 →투자활성화 →성장잠재력 확충의 선순환 구조를 되살리기 위해서도 성장촉진은 필요하다. 오는 2020년 이후 본격적인 노령사회 진입에 대비하자면 더욱 그렇다. 이를 위해 우선 기업투자를 활성화 하기 위해 각종 규제를 과감히 철폐하고 친기업적인 사회분위기를 조성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본다. 당장 저금리 기조를 전환하기 어려운 만큼 저축증대를 위해 비과세 저축상품이나 근로자우대저축 등을 확대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