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해안지역 지방자치단체들이 잇따라 군부대와 협의해 철책선 철거에 나서자 강원도 동해안 지역 철책선 철거가 또다시 영동지역 주민들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10일 영동지역 시.군에 따르면 인천의 경우 최근 바다조망이나 접근낚시등이 가능한 해안지역 철책선을 대폭 개방해 친수연안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을 세우고 군부대와 협의중이다. 특히 인천해안도로 연안부두등 1만1천800m 가운데 일부는 철거공사및 미관형휀스로 교체공사가 진행중이며 장기적으로 관내 7개소 5만8천300m의 철책선을 철거할계획이다. 한강하류 지역인 김포시와 고양·파주시등도 군부대 철책선 철거를 위해 연구용역을 하기로 하는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영동지역 주민들도 동해안 212.3㎞를 둘러싸고 관광지 주변의 철책선상당수가 사실상 무용지물로 변한채 주변 경관만을 해치고 있다며 정부의 과감한 결단을 바라고 있다. 특히 영동고속도로 확장, 양양국제공항개항에 이은 금강산육로관광 실시, 동해북부선건설등 이지역을 찾는 관광객들이 대폭 늘어나며 관광객의 불만을 사고 있는데다 일부 해수욕장의 경우 사실상 출입이 자유로워 철책선 철거를 기대하고 있다. 양양군 강현면 전진2리 활어회센터의 경우 어민들이 출어하는 오전 5시부터 밤12시까지는 철책내 출입이 자유로워 출입통제시간은 불과 5시간에 불과하다. 또 설악해수욕장 낙산해수욕장등은 사실상 하루종일 출입이 자유로워 인근지역철책선의 기능이 사라진 상태이다. 동해안 철책선은 지난 90년대초에 관광지 인근지역은 대부분 철거됐으나 지난 96년 강릉 무장간첩 침투후 다시 설치돼 주민들은 물론 관광객들로부터 불만을 사고있다. 이와 관련 해당 군부대는 "북핵 문제가 확산되고 있고 남북대치 상황이 계속되고 있는 한 철책선 철거는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속초=연합뉴스) 임보연기자 limb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