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독자적인 지구당 폐지 추진을 사실상 유보했다. 민주당 개혁특위는 내부적으로 지구당 폐지안이 당무회의를 통과하더라도 여야 합의로 선거법과 정당법 등의 개정이 이뤄질때까지는 시행을 미루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현행 법과 충돌하는 데다 일방적으로 '무장해제'할 경우 총선을 치르기 어렵다는 현실적 판단에서다. 김원기 개혁특위 위원장은 13일 "지구당 위원장 폐지안을 통과시키되 시행은 여야 합의로 법개정을 한 뒤에 가능할 것"이라며 "상대당이 무장해제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 우리만 무장해제를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개혁안이 통과되는대로 야당과 협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여야 합의가 안될 경우 지구당 위원장제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며 "일정한 시점에 지구당 위원장이 사퇴하고 지구당 선관위를 구성,총선후보 경선을 공정하게 관리하도록 하는 안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이호웅 의원은 "총선을 위해 일단 지구당 위원장제를 유지하되 10월쯤 위원장들이 일괄사퇴하고 지구당에 공정한 관리위원회를 둬 상향식 공천을 관리하도록 하는 게 유력한 절충안"이라고 전했다. 이와 관련,유인태 대통령 정무수석은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말한 것(지구당위원장 기득권 포기)은 민주적인 절차를 강조한 것이지만 당내에서는 현실적 우려가 있는것도 사실인 만큼 이를 절충해야 할 것"이라고 말해 이같은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음을 시사했다. 이재창 기자 lee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