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원회는 19일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을 출석시킨 가운데 전체회의를 열어 대북송금과 관련해 집중 추궁했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금감위 업무보고를 받기 전 이 위원장에 대해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위증한 혐의로 고발하고 대북송금 특검을 실시할 것을 제의했다. 한나라당 김문수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현대상선의 대북지원설과 관련해 많은 의혹들이 제기됐을 때 금감위원장은 대부분 사실과 다르게 말했으나 대통령도 시인했다"고 포문을 열었다. 김 의원은 "현대상선 수표에 국정원 직원이 이서한 것은 금융실명제법이 위반이 아니냐"며 "국정원이 환전에 도움을 줬다면 외환관리법 위반일텐데 금융감독원이 혐의를 둔 적도 없고 조사한 적도 없다는 것은 위원장의 직무유기"라고 덧붙였다. 같은 당 이성헌 의원은 "현대그룹이 2000년 8월 북한 아태평화위원회와 합의한 7대 사업의 독점권 대가가 5억달러라고 했는데 그렇다면 98년 6월 민족경제연합회와 합의한 사업의 대가는 얼마였냐"며 "또 정몽헌 회장이 7대 대북사업의 당사자인 민족경제연합회가 아닌 아태평화위를 만났다는 것은 대북사업이 아닌 전적으로 정상회담과 관련한 업무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또 "이근영 위원장이 산업은행 총재로 있을 때 산은에 남북경협실을 만들었는데 이는 남북경협기금과 관련한 업무와 30대 기업의 대북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런데도 위원장은 작년 국감에서 남북경협에 대해서는 알 만한 위치가 아니라고 말한 것은 위증이 아니냐"고 따졌다. 이 의원은 금감원의 현대상선 회계감리가 지연되는 것에 대해 "현대상선이 무려 9차례나 자료제출을 거부하고 있는데도 강제조사권을 발동하지 않고 있는 것은 위원장이 깊숙이 개입됐기 때문이 아니냐"고 추궁했다. 자민련 안대륜 의원도 "금감위원장이 작년 국정감사에서 산은 총재로 재직할 당시 현대상선에 4천억원을 대출해준 것은 유동성 위기 때문이라고 했는데 이중 2억달러를 북한에 송금했다"며 금감위원장이 위증했다고 주장했다. 안 의원은 또 "임동원 당시 국정원장이 2000년 6월5일 현대상선으로부터 환전편의를 요구받았다고 밝혔는데 그날이 현대상선이 산은에 대출 신청한 날"이라며 "현대상선이 이미 대출될 것을 알고 있었다는 것으로 위원장이 `대출에 외압이 없었다'는 국감 증언도 위증"이라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 박병석 의원은 "산은에서도 환전과 송금이 가능한데도 현대상선이 대출받은 은행에서 환전하지 않고 외환은행을 통한 것은 4천억원 대출이 유동성 위기 때문이라는 점을 뒷받침 한다"며 금감위원장 편을 들었다. (서울=연합뉴스) 김준억기자 justdus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