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단체들은 19일 "대북 송금에 대한 특검이나 국정조사를 반대하며, 이에 대한 모든 평가는 역사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단체들은 이날 발표한 성명을 통해 "대통령이 직접 나서 해명과 사과를 한후에도 정치권의 대북송금에 대한 지속적 시비는 그 진위를 순수하게 볼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대통령의 외교적 결단으로 이룩된 6.15 공동선언의 연장선상에서 모처럼 금강산 육로 관광의 길이 열리고 민족의 숙원인 남북철도 연결이 실현되려는 시점에서 정치권이 이 문제를 정략적으로 다루려는 오늘의 상황은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통일단체들은 "대북 송금문제는 비록 민간기업인 현대그룹에 의해 실행된 것이나, 대한민국 최상위 규범가치와 기본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대통령의 결단에 의해 결행됐다"며 "대북송금 문제를 실정법상의 잣대로만 평가하고 판단하려는 것은 법률이론상으로도 온당치 않다"고 말했다. 단체들은 이어 "이번 일을 계기로 남북교류협력을 포함해 남북관계 전반에 대한 냉전적인 법령을 정비해 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날 성명 발표에는 평화통일시민연대 이외에 민족화합운동연합, 통일연대 평화위원회, 통일민주협의회, 자주평화통일민족회의, 통일맞이, 세계평화청년연합, 한민족통일촉진협회, 좋은 벗들 등 8개 단체가 참여했다. 또 이돈명 변호사와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김낙중 경실련 통일협회 고문, 강만길 상지대 총장, 김재민 평화통일시민연대 고문, 손장래 민화협 상임 공동의장 등11명이 개인자격으로 동참했다. (서울=연합뉴스) 문관현 기자 khm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