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적자가 불어나면서 미국이 20일 법률로 정해진 국채발행 한도액 6조4천억달러를 모두 소진했다. 기존 국채의 원리금을 갚는데 쓰일 자금을 조달할 정상적인 창구가 완전히 막힌 것이다. 의회가 국채발행 한도를 확대해 주지 않으면 신규로 국채를 발행할 수 없어 엄격한 의미에서 '기술적 디폴트(국가 부도)' 상태에 처한 셈이다. 이에 따라 미 재무부는 이날 의회에 국채발행 한도액을 조속히 늘려줄 것을 요청하는 한편 1980년대 초에 설립된 국가비상자금 운용펀드인 'G펀드'에서 자금을 임시 차입해 국채원리금을 갚아 나가기로 했다. 재무부는 작년 4월에도 국채발행 한도액을 다 쓴 뒤 한동안 G펀드 자금으로 연명했다. 미 의회는 당시 국채발행 한도를 5조9천5백억달러에서 6조4천억달러로 상향 조정해 주었다. 국채발행 한도는 지난 1917년 1백15억달러로 설정된 후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증액돼 왔다. 의회 관계자들은 "의회가 이번주 휴회"라며 한도증액 문제를 아무리 빨리 심의해 표결하더라도 몇주일은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관련,월가 전문가들은 "미 국채가 지구상에서 가장 안전한 투자 수단"이라고 지적하면서 "정부나 의회 모두가 미국채의 원리금상환에 차질이 생기도록 내버려 두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ee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