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정부의 고용정책은 장기실업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과 여성.고령자 등 유휴인력 활용에 중점을 둬야할 것으로 지적됐다. 노동부가 국민의 정부 5년간의 실업대책과 성과 등을 분석, 23일 발간한 '실업대책백서'에 따르면 외환위기 이후인 지난 98년 6.8%까지 치솟았던 실업률이 지난해 3.0%로 낮아져 외환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말 현재 2천1백69만명으로 외환위기 이전인 97년 9월의 2천1백37만명 이상으로 회복됐으나 경제활동 참가율은 60.5%로 97년 9월의 62.5%에 비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특히 실업구조의 변화를 보면 청년층(15∼19세)의 실업률이 지난해 말 현재 7.1%(32만명)로 전체 실업률보다 두배 정도 높고 전직 실업자중 이직기간이 1년 이상인 장기실업자의 비중도 지난 98년 10.6%에서 지난해 말에는 15.4%로 높아졌다. 백서는 향후 실업대책으로 △장기실업자 중장년실업자 비진학청소년에 대한 특화된 고용안정서비스제공 △청소년의 고학력화에 대비한 학교와 노동시장의 원활한 연계방안 △저소득 취약근로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 확충과 생계형.자활공동체형 창업이나 복지서비스형 일자리제공 등을 꼽았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