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가가 하늘 높은줄 모르고 치솟고 있어 큰 문제다. 올들어 두차례 실시된 서울지역 아파트 동시분양의 평당 분양가가 평균 1천1백84만원으로 지난해의 8백67만원에 비해 무려 36.6%나 올랐다니 말이다. 이같은 상승률은 2000년 12%, 재작년 10%, 작년의 19%와 비교해도 매우 높은 수치다. 서울뿐 아니라 수도권 택지개발지구내 분양가도 지난 2년동안에 평균 30∼60%나 상승했다. 분양가가 이렇게 오르면 부동산투기 재발이 우려되는 건 물론이고, 물가불안 임금인상 등을 자극해 경제안정을 해칠 것은 불을 보듯 분명하다. 기록적인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 더욱 그렇다. 분양가가 지나치게 많이 오른 것도 문제지만, 뚜렷한 인상근거가 없어 더욱 걱정이다. 일부 소비자단체들은 주택업체들이 공사원가와 관계없이 분양가를 주변 집값보다 높게 정하는 바람에 주택가격 상승을 자극하고 있고,오른 집값을 기준으로 분양가를 책정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서둘러 대책을 마련해야지 그냥 두고 볼 일이 아니다. 우리가 분양가 규제 철폐를 지지한 것은 시장경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아파트 품질향상과 가격인하를 기대했기 때문인데 실제로는 정반대니 여간 실망스럽지 않다. 주택업체들은 분양가 인상근거로 토지공사의 택지조성비를 비롯해 인건비 자재비 등의 상승을 내세우고 있지만 별로 설득력이 없다고 본다. 지난 몇년동안 물가상승률이 한자릿수에 머물러 있는 마당에 분양가가 해마다 수십%씩 오르고, 평당 분양가가 웬만한 서민들의 1년 소득과 맞먹고 있는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는 일이다. 그렇다고 지난해처럼 국세청 서울시 등을 동원해 행정규제를 하는 것은 임시방편일뿐 근본대책은 못된다. 대신 소비자 선택권을 극대화함으로써 시장자율적으로 가격인상 억제를 유도하는 제도개혁방안을 강구해야 옳다. 이를 위해 우선 후분양제를 서둘러 도입해야 마땅하다. 이 경우 품질대비 가격이 지나치게 비싼 아파트는 미분양될 위험이 높아 무분별한 분양가 인상이 자제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참여하는 금융기관도 합리적인 가격산정을 촉구할 것이다. 후분양제로 경쟁이 치열해지면 업체들 스스로가 금융비용을 포함해 자세한 분양가 산정내역을 공개하게 될 것이라는 점도 기대되는 대목이다. 이와는 별도로 인건비 등을 부풀려 세금을 탈루한 혐의가 있는 업체들에 대해선 국세청이 철저히 단속해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