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공개 정보이용 불공정거래 급증..작년 47건으로 3배 늘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코스닥시장 내 주식 불공정 거래가 급증하고 있다.
속칭 '작전'으로 불리는 시세조종은 주춤한 반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불공정 거래는 크게 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따라 코스닥위원회는 대주주 등이 회사 내 미공개 정보를 이용, 시세차익을 노리는 위법행위를 집중 감시키로 했다.
코스닥위원회가 28일 발간한 '2002년 코스닥시장 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불공정 거래 의혹이 제기된 1백47개 종목중 1백14개 종목이 금융감독원에 통보됐다.
금감원 이첩 종목은 시세조종 등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판단이 내려진 사안들이다.
이는 전년도 금감원 통보 건수(88건)에 비해 29%나 증가한 것이다.
지난 99년과 2000년에는 각각 22건과 63건이 금감원으로 넘어갔다.
유형별로는 대주주 등 내부자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사례가 2001년 16건에서 지난해 27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금감원에 통보하지 않았지만 미공개 정보이용 가능성이 높아 세부내용을 추적 조사한 사례까지 포함하면 모두 47건으로 전년도의 3배에 달하고 있다.
반면 지난해 시세조종 건수는 67건으로 전년도에 비해 오히려 1건 줄었다.
코스닥위원회 이은성 감리부장은 "작전이 줄어든 것은 증권 당국의 감시가 크게 강화된 데다 증시 침체가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했다.
코스닥위원회는 대주주 '모럴해저드'(도덕적 해이) 등과 관련된 미공개 정보이용이 올해 크게 늘어날 것으로 판단, 이에 대한 감리에 초점을 맞추기로 했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