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서 올라온 새 정부의 몇몇 장관들과 대통령의 참모들이 거처 문제로 고민에 빠졌다. 28일 각 부처와 청와대에 따르면 김두관 행자, 권기홍 노동, 허성관 해양수산 장관과 청와대 문재인 민정수석, 이정우 정책실장 등이 근무지 인근의 호텔이나 오피스텔에서 '홀아비 생활'을 하거나 친척 지인들의 집에 '더부살이'를 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인수위 때부터 두달 가까이 인수위 주변의 공동숙소에서 기거해 와 '객고(客苦)'가 적지 않아 직무 수행을 위해 하루빨리 방을 얻어야 할 처지다. 실제 이날 오전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도 노무현 대통령은 회의에 앞서 문 수석에게 "지금도 밖에서 주무신다면서요"라며 관심을 표명하기도 했다. 문 수석의 경우 현재 처가집 등을 돌며 '동가숙 서가식'중이고 이 정책실장은 호텔 등에서 생활하고 있다. 권 노동장관의 경우 부인 서정희씨가 대구에서 중증장애인 복지시설인 '더불어복지재단'에 힘을 쏟고 있어 상경이 곤란해 현재 호텔에 묶고 있다. 경남 남해에 집이 있어 서울 생활은 민통련 활동 이후 16년 만인 김 행자장관은 '급한 불'만 껐다. 일단 서울 목동의 친구집에 팩시밀리와 행정전화를 설치, 기거하고 있다. 허성관 해양수산부 장관은 서울 연희동에서 아들과 함께 원룸신세를 지고 있다. 조만간 부인이 상경해 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장관들의 어려움을 감안해 관련 부처 등은 전세나 월세로 임시 숙소를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그렇지만 혹시 장관 숙소를 마련하는 것이 새 정부의 '개혁 분위기'에 역행하는 것으로 비쳐지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노동부의 경우 지방노동청장과 지방노동사무소 직원들을 위해 직원숙소 임대비 등이 매년 예산에 반영돼 있어 관련 절차를 밟은 뒤 장관 숙소를 얻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행자부는 지난 91년 이상연 내무장관 당시 성북동에 집을 월세로 빌려 관사처럼 사용했다. 그러나 당시 월세가 1천만원에 달해 호화관사라는 비난이 일자 후임 이동호 장관 때부터 없앴다. 이들 부처는 장관이 개인 자격으로 집을 얻어 가족이 함께 이사하는게 최선이라는 입장이다. 다만 자녀 학교나 부인 직장 등으로 이사가 어렵다면 부처 차원에서 전세집을 구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래 저래 새 정부 장관.참모들의 고된 '객지생활'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홍성원 기자 animu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