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담 후세인 정권 붕괴뒤 '전후 이라크' 처리를 국제사회와 공동처리하나 경우에 따라 미국 단독 통치도 가능하다고 로스앤젤레스 타임스가 28일 보도했다. 신문은 이날 미 정부 관리들의 말을 인용, '후세인 후계자, 미국이 될 수도'라는 제하의 기사에서 조지 W. 부시 미 행정부는 후세인 정권이 붕괴될 경우 석유자원이 풍부하지만 정정이 불안한 이라크 통치를 위해 두가지 서로 다른 처리방안을 마련해놓고 있다고 전했다. 미 행정부가 마련한 첫번째 방안은 '독자(go-it-alone) 전략'으로 이라크 무장해제와 민주주의 실현을 보장하기 위해 이라크에 미군을 상당기간 주둔시키는 것이다. 이같은 계획은 이라크내에서 더 많은 통제권을 갖는 반면 전후처리 비용이 훨씬많이 소요되고 미군과 외교관들이 (후세인 추종세력 등의) 반격에 더 취약할 수 있다는 약점을 안고 있다고 신문은 지적했다. 두번째 방안은 경찰 및 군에 대한 숙정에서 새로운 헌법제정에 이르기까지 이라크 재건의 짐을 국제사회와 공유하는 것으로 미국은 전후 약 3-4개월간 직접통치권과 다른 책임을 국제사회에 이양하게 된다. 소식통들은 코소보와 동티모르에서 정권이양 등이 이뤄지고 있지만 미국 정부가이라크 처리에 대한 특정한 모델을 염두고 두고 있는 것은 없다고 말했다고 신문은전했다. LA 타임스는 미 행정부는 이라크 전후처리에 관한 한 두번째 '부담공유'안을강력히 선호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부시 대통령도 지난 26일 전후처리에 대한 언급에서 "이라크 재건은 많은 국가의 지속적인 헌신이 요구될 것"이라고 발언했음을 상기시켰다. 그러나 국제사회와 짐을 나누는 계획은 이라크전쟁이 쉽게 마무리되지 않거나다른 나라들이 전후 이라크에 발을 들여놓길 원치 않을 경우 성사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미국은 이라크 전후처리에 대한 각국의 관심을 면밀히 점검하고 있으며 콜린 파월 국무장관도 지난주 한중일 순방중 도쿄를 방문, 일본 정부로부터 긍정적인 답변을 들었다. 미 정부 관리들은 국제사회의 전후처리 가담여부 등은 이라크 무장해제에 대한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처리결과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신문은 덧붙였다.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김용윤 특파원 yykim@yonhap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