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의 4.3%인 208만명이 이용하고 있는 1만1천112개소의 간이상수도 시설을 개선하기 위한 본격적인 대책이 추진된다. 환경부는 소규모 정수시설에 적용할 수 있는 일체형 정수시스템 종합평가를 실시한 후 오는 11월부터 간이상수도 시설에 정수시스템을 보급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이에 따라 환경오염 측정 등을 담당하는 환경부 산하 기관인 환경관리공단(이사장 이석현)은 현대 엔지니어링 등 6개 업체의 제품을 대상으로 유지관리 용이성, 수질기준 적합 여부, 내구성 등을 중점 평가해 선정할 계획이다. 프랑스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은 1980년대부터 간이상수도에 대한 정수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환경부는 또 지자체 공무원들의 이해를 도모하고 관련 학계와 업계의 기술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오는 7월께 국제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수도법을 개정해 수질관리기술사나 상하수도기술사 등 일정한 자격을 갖춘 전문업자가 지방의 간이상수도 유지.관리를 대행할 수 있는 전문업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한편 간이상수도는 소독 등 정비.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제1군 법정전염병인 파라티푸스 등 각종 수인성 질병의 원인이 될 것으로 우려돼 왔다. (서울=연합뉴스) 심규석기자 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