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동(李滄東) 문화관광부 장관은 14일 취임후 첫 기자회견을 갖고 "문화정책의 궁극목표는 민간자율에 맡기는 것"이라고 정책방향을 말했다. 이 장관은 "현장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자기분야의 정책을 찾아내고 이를 실행에 옮길 수 있어야 한다"면서 "정부는 그들이 마련한 정책을 지원하고 막힌 곳을 뚫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는 "시행착오와 갈등이 있더라도 이같은 정책방향은 바꿀 수 없다. 현장의 문화예술인들도 정부의 이같은 의지를 알고 준비를 해야 한다"면서 "확정되지 않았지만 민간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해 현장과 문화부의 연결고리로서 정책보좌관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임 장관이 방송정책권과 관련, 방송위원회와 논란을 빚은 것에 대해 이 장관은 "방송산업을 살리는 정책은 정부가 할 일"이라며 산업적 측면에서 정부의 역할론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장관은 "월드컵대회 수익금 1천600억원을 월드컵 기념관을 짓는 데 사용한다는 기존 방침을 지킬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 "월드컵대회가 가져온 국민통합의 느낌을 간직하는 기념물을 짓는 것은 충분한 가치가 있다"면서도 "수익금 용도에 대해 일부 비판적 시각도 있으므로 기념적 가치와 체육계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더 연구해 봐야 한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부내 인사와 관련해서는 "조직 내부사정을 모르는 상태에서 일괄인사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긴다"면서 "인사요인이 발생한 자리 외에는 5-6개월 뒤에나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영화감독 출신 장관에 대한 매스미디어들의 관심에 대해 그는 "특정 장관이 언론에 자주 나오는 것이 좋은 일이 아니라고 여겨 언론접촉을 피해왔다"면서 "옷차림이나 손수 운전하는 것이 본질적 문제는 아니다. 개인적인 삶의 방식과 해야 할 일 사이에서 괴리를 느낀다. 예상했던 것보다 어렵다. 그러나 해야 할 일이기에 가능하면 잘해보려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서울=연합뉴스) 정천기 기자 ckchu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