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典서 찾는 지혜] 재물의 해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賢者多財,
현자다재,
損其志;
손기지;
愚者多財,
우자다재,
生其過.
생기과.
--------------------------------------------------------------
현명한 사람이 재물이 많아지면 지조를 손상케 되고,어리석은 사람이 재물이 많아지면 잘못을 저지르게 된다.
--------------------------------------------------------------
당 오긍(吳兢)의 '정관정요 탐비(貞觀政要 貪鄙)'에 있는 말이다.
이 세상 모든 생명체는 스스로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양의 물자를 소비한다.
그리고 자연(自然)은 이 세상의 모든 생명체가 그들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만큼의 물자를 생성하고 공평하게 나누어 준다.
그런데 유독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그들의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만큼의 물자를 얻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스스로 생산하고 비축(備蓄)하는 요령을 터득하여 이른바 경제활동을 한다.
그리고 재화(財貨)의 이동을 중심으로 빈부(貧富)의 불균형 현상도 생겨나게 되었고,어리석은 사람은 개화를 남보다 많이 차지하고 소비하려다가 스스로의 삶을 망가드리기도 한다.
이병한 < 서울대 명예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