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코너] 禍 부른 장관들 표현력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인터넷신문 '오마이 뉴스'에 보도된 북한 영변 폭격설 타진 관련 기사의 진원지인 조셉 윈더 미 한국경제연구원(KEI) 소장은 담담했다.
보도내용이 자신의 발언과 워낙 다르기 때문에 개의치 않는다는 인상을 주었다.
그는 김진표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과의 대화 내용을 기자에게 이렇게 전했다.
"조지 W 부시 행정부 안팎에서 북한 핵무기 해결방안의 한 가능성으로 영변 핵시설의 기습폭격 얘기를 하는 사람이 있다.
미국언론에도 보도됐던 얘기들이다.
새로운 내용이 아니지 않느냐."
통역을 두고 한 그의 발언은 김 장관을 거쳐 오마이 뉴스에 '미국 고위관리가 한국정부에 영변 폭격을 타진했다'로 보도됐다.
기자가 김 장관을 처음 만난 것은 옛 재무부 재산세제과장때였다.
그는 윈더 소장의 발언을 과장해서 전달할 만큼 덤벙대는 관료가 아니었다.
그렇다고 오마이 뉴스가 의도적으로 김 장관의 전언을 과장보도했다고 해석하고 싶지도 않다.
분명한 것은 윈더 소장의 발언이 전혀 다르게 보도됐다는 사실 그 자체다.
파장은 컸다.
한반도에 전쟁 위험이 높아지면서 경제에 부담을 줬다.
윈더 소장-김 장관-오마이 뉴스로 이어지는 대화 채널의 어느 단계에선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확대해석이나 오해가 적지않은 피해를 준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 취임 전 고위대표단의 한 명으로 워싱턴을 다녀간 윤영관 외교통상부 장관의 북한 핵무기 보유 발언 파장도 비슷했다.
당시 인수위원회 외교분과 간사였던 윤 장관은 "한국의 일부 젊은이들 사이에 북한의 붕괴보다는 핵무기 보유를 선호하는 인식이 있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그의 발언은 참석자들을 통해 새 정부의 핵심인물인 윤 장관 본인의 생각인 것처럼 전해졌고 그대로 기사화됐다.
김 장관과 윤 장관 발언 기사가 오보였다면 책임은 언론이 져야 한다.
하지만 오보나 과장보도의 빌미를 제공하는 장관들 또한 변명할 여지가 없다.
그렇게 민감한 사안이라면 듣는 사람이 확대해석하지 못하도록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만 한다.
장관이 정보나 정책을 정확하게 전달하지 못할 경우 그 피해는 국가와 국민들이 보기 때문이다.
워싱턴=고광철 특파원 gw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