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24일 당무회의에서 이라크전 파병 문제를 놓고 적극 지지,파병 반대,인도적 차원의 의료부대만 파견 등 세 갈래 입장을 놓고 논란을 벌였다. 민주당 정대철 대표는 이 자리에서 "과거 걸프전때 조금 늦게 파병해 효과가 덜했던 전례가 있다"고 지적하고 "의료부대를 먼저 파병한 뒤 전후복구를 위해 건설공병 부대를 파병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김근태 고문은 "국민의 81%가 이라크전에 반대하고 있는데 입법부는 나름대로의 입장을 가져야 한다"며 "미국의 대이라크 군사조치를 지지하면 대량살상무기 개발 의혹을 받고 있는 북한에 대한 군사적 해결은 어떻게 반대하느냐"고 반문했다. 이해찬 의원도 "유전확보를 위해 8백억달러의 전비를 투입하는 전쟁은 용납할 수 없는 만큼 당내에서도 충분한 논의를 거쳐 당론을 정하든지 자유투표에 맡기든지 결정해야 한다"고 동조했다. 김경재 의원은 "청와대가 결정하는대로 따라간다면 국회가 왜 있느냐"고 지적한 뒤 "의총을 열어 민주적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미 동맹관계와 국민의 정서를 고려,인도적 차원에서 의료부대만 파견하는 수정안을 내겠다"고 밝혔다. 여야는 25일 국회 본회의 직전 의원총회를 열어 파병동의안 처리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한나라당은 파병동의안을 당론으로 통과시킬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반면 민주당은 자유투표를 할 공산이 크다. 현재 여야 의원 가운데 35명 정도가 전쟁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있어 표결 결과가 주목된다. 정종호 기자 rumb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