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이라크전 발발 1주일만인 26일 이사국이 아닌 일반 유엔 회원국들이 참가한 가운데 공개회의를 열고 이 전쟁 문제를 논의했다. 아랍연맹과 비동맹운동(NAM)의 요청으로 열린 이 회의에서는 전쟁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분열상이 재연됐지만 숫자로만 본다면 전쟁 반대 의견이 좀더 우세한 양상을 보였다. 선준영 유엔주재 한국대사는 "현상황에 이른 것은 이라크가 무장해제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면서 전쟁을 지지했다.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은 "마지막 기회를 이용하지 못한" 이라크를 비난하면서도 "동시에 세계의 많은 사람들은 유엔 회원국들이 지금 그토록 치명적인 행동을하는 것이 정당한 일인지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제기한다"고 지적했다. 아난 총장은 "우리 모두는 이 전쟁이 가능한 한 조속히 끝나기를 바라지만 전쟁중에는 민간인 보호와 부상자 및 전쟁포로를 보호하고 전쟁의 희생자들에게 구호를제공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밝혔다. 무하마드 알두리 유엔주재 이라크 대사는 "미국이 이 전쟁의 목표로 이라크 정권의 교체를 공언한 것은 국제법과 유엔 헌장의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알두리 대사는 이라크 남부 바스라의 식수공급 부족, 이슬람 사원의 파괴, 하루 2천회에 달하는미ㆍ영 연합군의 폭격 등 전쟁의 참상을 강조하면서 유엔 안보리에 대해 "국제법의원칙들이 준수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라"고 요구했다. NAM을 대표해 발언한 라스탐 모드 이사 유엔주재 말레시이사 대사와 아랍연맹의야햐 마마사니 대표도 "이라크전은 국제법과 유엔 헌장 위반"이라고 한 목소리로 주장했다. 거의 모든 이슬람 국가들도 전쟁에 나선 미국과 영국을 비난했으며 EU 의장국인그리스와 스위스, 노르웨이, 뉴질랜드 등 상당수 서방국가들은 이라크의 "영토적 통합성과 주권"을 강조하거나 이라크 주민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을뿐 전쟁의 당위성을 언급하지 않았다. 반면 한국을 비롯해 일본, 호주, 폴란드, 싱가포르, 알바니아 등은 이라크의 무장해제 의무 위반을 집중 부각해 전쟁 책임이 이라크측에 있다고 지적했다. (뉴욕=연합뉴스) 추왕훈 특파원 cwhyn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