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절약 전문기업(ESCO)제도 ] 에너지 절약 전문기업(ESCO) 제도는 에너지 사용자(고객)가 보유한 기존 설비를 ESCO가 고효율 절약시설로 바꿔준 뒤 일정기간 동안 사용자의 에너지 절감액에서 투자비와 이윤을 회수하는 것이다. ESCO가 투자비를 모두 회수하고 나면 설비는 사용자가 갖게 된다. 에너지 사용자는 투자위험 없이 새로운 에너지 절약설비를 들여놓을 수 있고 ESCO는 선(先)투자 위험에 상응하는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이 제도는 지난 70년대 후반 미국에서 처음 개발돼 현재 약 30개국으로 확산됐다. 국내에는 92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절전형 조명등 교체 폐열 회수.재활용 작업공정 및 에너지설비 개선 건물용 소형 열병합 발전 등이 대표적이다. ESCO는 지난해말까지 2백10개 업체가 등록했으나 47개 기업이 취소돼 현재 1백63개 업체가 활동하고 있다. 활동중인 ESCO로는 중소기업이 1백27개사로 대기업(36개사)보다 월등히 많다. ESCO로 지정되면 정부로부터 동일 사업장당 최고 1백억원을 연리 4%(5년 거치,5년 분할상환)에 지원받을 수 있다. 또 ESCO를 통해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를 한 기업은 투자액의 7%를 세액에서 공제받을 수 있다. 산업자원부는 초창기 해마다 50억원 안팎의 자금을 대주다가 98년 2백69억원(1백39건) 99년 6백48억원(2백44건) 2000년 8백56억원(5백19건) 2001년 7백51억원(5백48건) 2002년 1천4백억원(4백19건) 등으로 지원규모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 지난해말까지 총 지원금액은 4천1백35억원(1천9백99건)에 달한다. 설비별 지원금액은 조명이 8백22억원(1천4백2건)으로 가장 많고 공정개선 7백57억원(1백1건),냉.난방 6백36억원(96건),폐열 회수 6백29억원(1백59건),열병합 발전 5백38억원(20건),동력 4백97억원(1백59건) 등의 순이다. 분야별 투자금액은 산업체가 1천8백78억원(4백46건)으로 전체의 45.4%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비해 공공건물(6백75억원.3백39건)과 학교(5백95억원.6백65건)는 지원금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원건수가 많아 ESCO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는 연간 53만1천TOE(석유환산t) 규모로 1천6백49억원어치에 달한다. 이는 1억원을 투자해 해마다 4천만원(1백28TOE)을 절약하는 셈이다. 투자비 회수기간도 평균 2.5년에 불과하다. 설비별 에너지 절감규모는 폐열 회수가 17만1천TOE(4백1억원)으로 가장 크고 공정개선 10만6천TOE(3백4억원) 동력 9만7천TOE(2백42억원) 8만TOE(2백64억원) 열병합 발전 4만1천TOE(2백7억원) 등이다. 정한영 기자 c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