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3 12:43
수정2006.04.03 12:45
대한상공회의소는 초등학교는 물론이고 중.고교 경제교육도 매우 제한적이고 부분적으로 실시하고 있어 청소년을 책임 있는 경제주체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교과개정의 개편과 관련 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대한상의는 3일 '청소년 경제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란 보고서를 통해 초등학교부터 고교까지 12년의 교육과정 가운데 경제교육은 사회과목의 3개 단원(총 80여쪽)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또 고교 교육과정에서는 '경제' '기업경영' 등 과목들이 선택과목이어서 채택비율이 10% 안팎에 머물고 있다.
교과서에서 다루는 내용도 인플레이션을 '기업이 이윤을 많이 남길 목적으로 독점재화의 가격을 인상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고 기술하는 등 개선점이 많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특히 사회과목 교사 가운데 경제학을 전공한 수가 극히 미미하며 교사들에 대한 재교육 장치도 미흡, 전문 교사인력이 태부족이라고 상의는 지적했다.
상의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자유시장경제를 채택하고 급속도로 발전을 이뤘음에도 불구하고 경제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발전의 원동력이라 할 기업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팽배하다"며 "대다수 국민이 경제교육을 받는 중.고교 과정에서 시장경제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개선 방안과 관련, 상의는 2∼3년내 추진해야 할 단기과제로 △자본주의 우월성을 체득하고 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도록 교과서 편찬방향 설정에 대한 재평가 △생활속의 경제인, 민주시민으로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과서 수정 및 부교재 개발 △가정에서의 경제교육 지침서 개발을 들었다.
정태웅 기자 redae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