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식목일…치산녹화 30년 결산] (기고) 숲가꾸기, 모두가 나서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7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범 국민적 치산녹화사업의 덕택으로 상습적인 홍수와 가뭄이 줄어 농업 발전의 기반을 조성하게 됐다.
이런 이유로 유엔 식량농업기구(FAO)는 한국을 세계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단기간에 녹화에 성공한 나라로 평가하고 있다.
IMF사태를 맞아 실업률이 높아짐에 따라 지난 98년부터 5년간 숲 가꾸기 공공근로사업을 통해 하루 평균 1만3천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했다.
올해는 치산녹화 30주년이 되는 의미있는 해다.
지금 나무들은 청년기를 맞아 한창 자라고 있다.
목재가치는 대략 1조원에 이르고 있고 임산물은 매년 2조원어치가 생산되고 있다.
맑은 물,깨끗한 공기,휴양공간 등 산림의 공익적 가치는 GDP(국내총생산)의 10%인 연간 50조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렇지만 숲이 갖고 있는 나무의 양은 임업 선진국에 비해 미천한 수준이다.
이제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개혁과 변화,직접 참여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커지고 있다.
산림정책도 산림녹화에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재도약해야 할 때다.
먼저 국민의 요구에 발 빠르게 대처해야 한다.
경제 수준은 높아졌지만 환경 여건은 나빠져 산림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는 추세다.
이런 요구를 적극 수용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확대해야 한다.
예컨대 국토와 생태계의 근간인 백두대간을 보전하는 대책을 세우고,숲 가꾸기를 통해 5대강 유역 산림의 수원 함양 기능을 높이며,휴양림 수목원 등 삼림휴양 기회를 확대하는 정책 등을 펴는 것이다.
국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장도 마련해야 한다.
70,80년대 치산녹화 시절의 '정부 주도,국민 참여'가 아닌 '국민 주도,정부 지원' 형태로 정책의 틀을 바꾸는 방안도 필요하다.
나무 한 그루를 심고 가꾸는 데도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장을 마련하고 나아가 정책 결정·집행에 대한 모니터링에 국민과 시민단체가 동참하는 열린 정책을 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