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관용(朴寬用) 국회의장이 4일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리는 국제의회연맹(IPU) 총회 및 미국 방문을 위해 출국하기에 앞서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회의 `북핵관련 대정부 정책권고사항' 채택 배경 등을 밝혔다. 회견장에는 권고내용을 채택한 국회 북핵관련정책협의회 공동대표인 한나라당 김덕룡(金德龍) 민주당 박상천(朴相千) 의원이 배석, 권고사항의 내용과 향후 협의회 운영방안을 설명했다. 두 공동대표를 포함해 여야 의원 15명이 주축이된 정책협의회가 마련한 권고안은 "북핵문제를 지혜롭게 수습하고 전국민이 동의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입법부에서 권고안을 마련한 것으로 헌정사상 처음"이라고 박 의장은 설명했다. 박 의장은 "칠레에서 열리는 IPU총회 연설에서도 북핵불용 등 권고사항에 담긴 내용을 강조하게 될 것"이라며 "방미기간 예정된 딕 체니 부통령, 빌 프리스트 상원공화당 대표, 힐러리 상원 의원, 코피아난 유엔 사무총장 등과의 면담에서도 북핵문제를 중점 논의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박 의장은 협의회가 북측에 대한 `경제적 제재 가능성'을 언급한 배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사태 추이에 따라 상황에 맞춰 조치를 취한다는 단계적 접근론 차원에서 언급된 것"이라며 "민주당 심재권(沈載權) 의원 등 소수는 경제적 제재를 주장할 때가 아니라고 주장했다"고 말했다. 박상천 의원은 "이 문제는 전쟁을 끝까지 반대하지만 끝내 협상이 안돼 유엔 안보리 이름으로 경제제재가 행해질 때는 동참할 수 있다는 것으로, 압력수단이라는 것이지 실제로 하자는 것은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향후 협의회의 활동계획에 대해 김덕룡 의원은 "이번 활동은 정부 뿐 아니라 학계, 언론계 등과 폭넓은 접촉을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원외교의 새로운 지평을 연 것"이라며 "계속해서 국회차원의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천 의원은 "현재 북핵문제의 핵심은 핵비확산문제, 북한에 대한 인도적.경제적 지원, 북한 안전보장 등 세가지"라며 "북핵문제가 해결돼 한.중.일.러가 참여하는 다자간 협약이 맺어진다면 좀처럼 깨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최이락기자 choinal@yonhapnews.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