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가족으로 이뤄진 북한 주민 3명이 조그만 목선을 타고 동해안으로 귀순했다. 북한 주민들이 동해안으로 배를 타고 귀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6일 새벽 4시15분께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항 앞바다 2마일 해상에서 선명이 없는 목선(일명 전마선)이 표류 중인 것을 고기잡이 나가던 어성호(4.55t급) 선장 진철수씨(47.주문진읍 주문 12리 8반)가 발견, 함께 조업을 나가던 대광호(2.43t급.선장 이태용)가 경찰에 신고했다. 길이 5m, 폭 2m의 이 전마선에는 발견 당시 북한 주민 김정길씨(46.양봉업.함경남도 라원군 라흥구 90)와 동생 정훈씨(40.어부), 김정길씨의 아들 광혁씨(20) 등 3명이 타고 있었다. 이들은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속초해양경찰서 주문진파출소 김호연 소장(경위) 등에게 즉각 귀순 의사를 밝혔다. 이들이 탄 목선은 어민들이 고기잡이를 위해 쳐 놓은 유자망 그물에 스크루가 걸려 표류하다 어민들에게 발견됐다. 이들을 처음 발견한 어성호 선장 진철수씨는 "아들과 함께 오전 4시께 주문진항을 출항한 후 바다에 장애물이 있어 접근해 보니 전마선이었다"며 "처음에는 간첩선인줄 알고 접근을 못했는데 조금있다 배에서 손을 흔들며 소리를 질러 사람이 있는 줄 알았다"고 말했다. 이날 김정길씨 등 귀순자 일가족 3명을 현장에서 합동심문한 당국에 따르면 김씨는 양봉업자로 2000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60세 생일을 맞아 꿀 6?을 채취할 것을 지시받았으나 이를 이행하지 못해 같은 해 7월 초 북한 당국에 체포돼 강제 수용되는 고초를 겪으면서 탈북 의지를 키워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는 2001년 11월 면회를 온 동생 정훈씨가 "더 이상 북에서는 가망이 없으니 남으로 가자"고 제의, 귀순을 결심했으며 체포 당시 구타당했던 낭심 부위 상처가 악화돼 2002년 7월 출소하자 탈북 준비에 착수했다. 김씨는 또 평안도 지주였던 조부(사망)로 인해 출신성분이 나빠 군에서 장교가 될 수 없었고 아들도 대학에 보낼 수 없는 등 차별을 당해 불만을 쌓아온 것으로 전해졌다. 정구학 기자 c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