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종금 로비의혹 사건에 연루된 혐의를 받고 있는 안희정(安熙正) 민주당 국가전략연구소 부소장과 염동연(廉東淵) 민주당 인사위원은 빠르면 금주중 예정된 검찰 소환을 앞두고 변호인 및 지인들과 연일 대책을 숙의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에 대한 검찰조사의 핵심은 돈의 성격이 대가성있는 로비자금인지 여부. 나라종금 대주주인 김호준(金浩準) 전 보성그룹 회장측으로부터 각각 2억원과 5천만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두 사람은 모두 대가성을 부인하면서 이를 소명하기 위한 자료와 정황설명 준비에 역점을 두고 있다는 것이 주변의 전언이다. 안 부소장은 최근 YTN과의 인터뷰 및 사적인 만남 자리 등에서 "`오아시스워터'라는 생수회사를 98년부터 3년간 경영했다. 나라종금이 퇴출저지를 위해 나를 로비스트로 고용했겠느냐"면서 "때가 되면 모든 것을 밝힐 것"이라고 말해왔다. 주변 사람들은 "생수회사 투자금조로 받은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 염 위원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수자원공사 감사 재직중 구속됐다가 집행유예로 풀려난 직후 평소 잘 알고 지내던 김 전 회장으로부터 생계보조금 명목으로 받은 것"이라며 대가성을 부인했다. 돈을 준 당사자인 김 전 회장의 변호인인 이재화(李在華) 변호사도 `로비설'을 일축하면서 이들의 주장과 비슷한 내용의 언급을 언론들과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특히 이들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의 연관성을 철저히 부인하면서 개인적 친분관계를 통해 사적으로 받은 돈이라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두 사람 얘기로는 자신있다고 한다"면서 `문제있는 돈이 아니라는 뜻이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말해 대가성이 아님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했다. 돈을 준 쪽이나 받은 쪽 모두 대가성을 일관되게 부인하고 대가성을 입증할 다른 증거가 없을 경우 검찰 수사가 어떻게 진행될지 주목된다. 한편 안 부소장은 최근 이 일로 무리한 탓에 7일 일산 집에서 링거를 맞으며 휴식을 취하기도 했으며, 염 위원은 변호인과의 상의 등 분주히 움직였지만 양측 모두 언론과의 접촉은 피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현재기자 kn0209@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