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프랑스 독일 러시아에 대이라크 채권포기를 요구,"경제전쟁"을 예고했다. 전쟁반대에 앞장선 나라들에 일종의 "괘씸죄"를 적용,또 다른 선전포고를 한 셈이다. 특히 폴 월포위츠 미국 국방부 부장관은 10일 상원 군사위에 출석,이라크공격을 극렬히 반대한 프랑스를 겨냥,"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경제전쟁 본격시동=월포위츠 부장관이 이날 대이라크 채권을 포기하라고 요구한 나라는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 3개국이다. 3개국은 그동안 강력한 연대를 통해 "반전"을 주도해왔다. 따라서 월포위츠 부장관의 요구는 전쟁반대 국가들의 전후복구 사업 참여를 "원천봉쇄"하는 것은 물론 이들 국가들의 "기존권리"까지 박탈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는 향후 이라크 석유판매 대금으로 복구자금을 충당하려는 미국의 의도에 프랑스 등이 제동을 걸 것에 대비한 선제공격의 뜻도 담겨있다. 월포위츠 장관이 채권포기를 촉구한 명분은 사담 후세인대통령이 무기구입 호화궁전 건축 탄압수단 강화 등을 위해 빌린 빚을 신정부에 떠 넘겨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7백40억달러(전체 외국의 대이라크채권 3천8백44억달러)에 달하는 이들 3개국의 채권만을 포기대상으로 적시한 것은 전쟁반대에 대한 보복적 성격이 짙다. 석유개발권도 포기 촉구=월포위츠 부장관은 이날 후세인 정권과 프랑스 러시아 등이 맺은 유전개발 계약까지 포기할 것을 요구,이번 전쟁이 "석유를 위한 전쟁"이었다는 의혹을 더욱 짙게 하고 있다. 미국은 앞으로 이라크복구 자금의 대부분을 이라크석유 판매대금으로 충당할 계획이어서 프랑스 러시아등의 반대에 미리 쐐기를 박자는 의도가 다분히 깔려있다. 특히 월포위츠 부장관은 프랑스를 겨냥,"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노골적으로 공격,반전국가들의 "합종연횡"이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높아졌다. 실제로 3개국은 11,12일 이틀동안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정상회담을 갖고 대미 전략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라크복구사업을 둘러싼 미국과 반전국가들과의 갈등도 보다 증폭될 것이 분명하다. 신동열 기자 shin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