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경영ㆍ정도경영] KT·KTF : 임직원 경조비도 제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해 정부지분 매각으로 완전 민영화된 KT는 초일류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윤리경영이 필수과제라는 판단 아래 다양한 행동지침을 마련,시행하고 있다.
지난 1월 이용경 KT 사장은 민영화 후 첫 신년사에서 "기업의 투명경영은 선택이 아니라 시대적 요구사항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이제는 기업 스스로가 투명해지지 않으면 부실기업이라는 불명예를 안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 사장은 민영화를 이룬 KT에 기업윤리가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며 전임직원이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고객과 주주 경쟁사 등 이해 당사자들과의 관계를 더욱 투명하게 해 신뢰받는 기업,깨끗한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 윤리경영이 필수요소가 됐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KT는 '클린(clean) KT 구현'이란 구호 아래 △편안한 업무환경의 조성 및 유지 △고객 주주 경쟁사 등 이해관계자와의 관계 △회사의 재산 보호 △국가와 사회에 대한 책임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행동지침을 마련했다.
또 고객 존중,고객 정보보호,투명한 회계처리,공정경쟁,환경보호 등 전반적인 기업 활동에 대한 윤리적 행동기준도 제시했다.
다른 기업들의 윤리강령이 포괄적이고 추상적인데 비해 'KT 윤리강령'은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다양한 실천항목을 포함시킨 게 특징이라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주요 실천지침으로는 △임직원간 경조금 액수 제한(임원급 10만원 이하,경영직 및 부장급 5만원 이하,과장급 3만원 이하) △사회 윤리적으로 지탄의 대상이 되는 부적절한 접대 금지 △부적절한 공여 금지조항 등이 있다.
이 사장은 윤리강령을 선포하면서 "고객을 존중하고 함께 숨쉬며 국가와 사회에 공헌하는 윤리적 모범기업,정도경영을 선도하며 당당히 경쟁하는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한다"고 말했다.
KTF도 윤리경영에 앞장서고 있다.
KTF는 기업 내부의 공정거래 질서를 자율적으로 준수하기 위해 실질적인 책임과 권한을 갖는 '자율준수 관리자'를 임명했으며 행동강령의 세부지침서인 '자율준수 매뉴얼'을 전직원에게 배포,정기적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공정경쟁을 해치는 7대 징계대상 행위를 선정,위반자를 징계하고 위반부서에 과징금 등 제반비용을 부담케 하는 자체 정화절차를 엄격히 시행하고 있다.
또 '사전검증제'를 활성화해 사업 시작에서부터 광고 프로모션 등 일련의 사업활동 과정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한 검증을 벌여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가 전달되도록 했다.
지난해에만 1백40건의 사전검증을 통해 불공정요소를 미리 예방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
남중수 KTF 사장은 "사외이사 비율을 과반수로 하는 등 선진 지배구조를 갖췄으며 불공정행위 유발이 예상되는 사안을 정리해 부서에 미리 통보,원천적으로 문제를 예방하는 노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