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전 이후 또 다른 전쟁으로 우려되는 통화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각국간의 협조와 세계 단일통화 도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동안 거론돼온 세계 단일통화론은 유로 탄생의 산파역인 버나드 리테어 루벵대(벨기에) 교수의 '테라(Terra)' 구상과 미 달러의 사용범위를 확대하는 달러라이제이션(Dollarization), 그리고 글로벌 유로(Global Euro)를 도입하는 방안으로 구별된다. ◆ 테라 =리테어 교수는 새로운 화폐 도입에 가장 필요한 발권기능은 국제원자재 생산업자들이 참여하는 '테라 연합(Terra Alliance)'에 맡겨야 한다고 주장한다. 테라 연합이 국제상품의 수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테라' 가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테라'의 화폐단위는 주로 원유 밀 구리 주석 등 국제상품을 표준화한 바스켓에 의해 매겨진다. 이 경우 국제 상품시장에서 바스켓에 포함된 상품시세가 변할 경우 '테라'의 실질가치도 자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각국의 물가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견해다. 리테어 교수는 '테라'의 사용은 화폐기능인 거래.투기.예비적 수요중에서 거래 기능에 한정된다는 점도 강조한다. 테라는 가치저장 수단보다는 유통수단으로서 전적으로 국제무역 결제에 사용되는 무역용 화폐로 성격을 못박고 있는 것이 기존의 화폐와 구별되는 점이다. 문제는 이런 '테라 구상'이 현실적으로 얼마나 가능한가 하는 점이다. 무엇보다 '테라'의 창설시 중앙은행 역할을 담당하게 될 '테라 연합'이 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크게 두 가지 점에서 의문시된다. 하나는 '테라 바스켓'을 구성하는 상품이 세계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20%에 불과해 앞으로 이들 업종의 교역비중이 늘어날 것이란 점을 감안하더라도 대표성에서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또한 국제상품 시세는 그 어느 가격변수보다 변동이 심한 점을 감안하면 '테라' 가치 유지가 쉬운 문제는 아니다. ◆ 달러라이제이션 =이런 이유들 때문에 '테라 구상'은 그야말로 이상론적인 논의 차원에 그칠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따라서 이미 모든 거래에 있어 결제비중이 50%가 넘는 미 달러를 세계 단일통화로 하자는 '달러라이제이션' 논의가 더 현실적일 수 있다. 문제는 미국 외의 국가들이 미 달러를 공식 화폐로 채택할 경우 각국의 통화주권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 것인가 하는 점이다. 특히 이번 이라크 전쟁으로 미 달러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팽배해진 상황에서는 이 문제 해결이 더욱 어려워 보인다. 이론적으로 각국의 법화(legal tender)에 대한 인식이 정착돼 있는 상황에서는 기존 화폐간의 조화보다는 새로운 화폐를 도입하는 것이 더 현실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글로벌 유로 ='테라'와 '달러라이제이션'의 장점을 수렴한 것이 바로 글로벌 유로를 도입하는 방안이다. 현재 세계 경제질서는 북미와 유럽 경제권, 아시아 경제권간의 3대 광역 경제권 체제로 재편되고 있다. 국제통화 체제도 미 달러와 유로, 아시아 단일통화간의 3극 통화체제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다. 앞으로 3극 체제로 정착될 경우 환율제도로 이들 세 통화간의 환율 움직임에 상하 제한폭이 설정되는 목표환율대(target zone)가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 목표환율대는 유로가 도입될 당시 회원국간의 통화가치 수렴작업과 동일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글로벌 유로를 향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갈수록 유로가 빠르게 정착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세계 단일통화로 글로벌 유로가 가장 현실성 있어 보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물론 세계 단일통화가 도입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겠지만 이 논의를 계기로 각국간의 협조체제가 강화돼 이번 전쟁 이후 우려되는 통화마찰을 비롯한 각종 분쟁을 방지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 [ 용어풀이 ] 테라 =지구를 의미하는 라틴어로 '세계에서 유일하게 통용되는 화폐'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용어다. 리테어 교수는 앞으로 '테라'를 사용하게 되면 거래비용이 줄어들고 투기행위가 차단돼 세계 경제가 안정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논설.전문위원 schan@hankyung.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