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다자대화가 북-중-미 3자대화로 시작하기로 방향이 잡히면서 현재 교착된 남북대화 재개 여부가 주목된다. 남북 당국간 대화는 북한이 지난달 22일 이라크전에 따른 우리 정부의 대응조치를 문제삼아 남북경제협력제도실무협의회와 해운협력실무접촉을, 지난 7일에는 10차장관급 회담을 무산시키면서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한 북한 전문가는 "북한이 대화를 거부하는 표면적인 이유는 이라크전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조치이지만, 진짜 이유는 이라크전 이후 전개될 북핵문제에 대한 위기감이었을 것"이라며 "북-중-미 3자 대화가 본격화되면 핵위기 해소국면으로 들어갈 것으로 보여 남북 당국간 대화도 이른 시일내에 재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세현 통일부장관도 최근 기자 간담회에서 "3월과 4월초에 이라크전과 우리 정부의 파병동의, 한미간 군사훈련 등으로 인해 북한은 잔뜩 긴장했을 것"이라며 "이제 훈련도 끝났고 이라크전이 매듭단계에 들어서 동북아 긴장이 완화된 만큼 반팔차림 옷을 입기전에 남북대화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올들어 북핵사태로 인한 북-미간 긴장고조속에서도 지속적으로 `민족공조'를 강조해온데다 당국간 대화 단절속에서도 민간행사에 적극성을 보여온 점을 들어, 북한의 당국간 대화 조기 재개를 점치고 있다. 북한은 서울에서 개최된 3.1절 민족공동행사에 종교인을 대거 보낸데 이어 지난달 평양에서 `2003년 조국통일과 남북 노동자 대표자회의'와 `남북한.해외 동포학자통일대회'를 예정대로 진행했다. 또 5.1절에는 한국노총.민주노총과 함께 평양에서 노동절행사를 치르고, 6.15남북공동선언 세돌을 계기로 평양 민족통일 대축전 등 다채로운 행사도 준비중이다. 그러나 남북 당국간 대화재개 시기는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북한이 남북대화를 다자대화에서 `실익'을 극대화하는 지렛대로 활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북한은 지금처럼 남북대화를 하지 않음으로써 "핵문제와 관련, 미국과의 대화가 풀리지 않으면 남북대화도 제대로 굴러갈 수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려 할 수 있고, 반대로 남북대화 재개함으로써 `민족공조'를 강조하면서 미국을 압박할 수도 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3자'.`4자'.`6자'든 다자대화가 이뤄지면 우리 정부의 `주도적 역할' 확보차원에서 남북대화 재개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다자대화가 급진전되가는 듯 하니까 남북대화에 허겁지겁 달려들게 되면 북한이 상황을 잘못 판단할 수도 있다"며 "일단 다자대화를 위한 북-중-미 접촉과 이들의 대화 추이를 지켜보는 것이 필요하며 따라서 남북대화 재개시기에 대한 전망이 조심스럽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정부 안팎에서는 조만간 우리 정부가 제10차 장관급회담의 조속한 개최를 북측에 제의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고, 남북관에 고위급 라인이 가동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전망도 흘러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