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장애인 10명 중 7명은 장애 때문에 차별을 경험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TNS와 함께 지난 1∼4일 전국에거주하는 만 20세 이상의 장애인 357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 조사를 실시, 17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차별을 받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73.7%가 `있다'고 대답했다. `차별 이유'에 대해 `일반인들의 편견 때문'이라고 답한 이가 66.1%를 차지한가운데 `장애인으로서 가장 힘든 점'(복수응답 가능)으로는 61.9%가 `생계 유지문제'를 들었고, `이동불편'과 `장애인을 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각각 40.6%와 34.5%로뒤를 이었다. 교육,노동,의료,이동,가족생활 등 5가지 영역에서 가장 큰 차별영역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노동'과 `이동'을 꼽은 응답이 각각 36.4%와 34.5%를 차지해 장애인들에 대한 노동권과 이동권 보장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노동 분야에서 차별(복수응답)로는 응답자의 31.7%가 입사거부나 지원의 제한에서 가장 심하게 차별을 받았다고 답했고, 27.2%는 직장내 편의시설과 업무환경에서심한 차별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이동 부문에서 차별 사례(복수응답)는 `버스.택시의 승차거부'가 43.1%로 가장많았고 `대중교통 편의시설 미비'가 39.5%로 뒤를 이었다. 차별시 대처방식으로는 응답자 중 23.5%만이 곧바로 항의하거나 인권 관련단체에 상담을 의뢰한다고 응답한데 비해 44.8%는 참거나 무시하는 것으로 조사돼 장애인들이 차별 상황에서 매우 소극적인 양상을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장애우권익문제연구소측은 "이번 조사를 통해 장애인들이 삶의 많은 부분에서각종 차별과 인권침해에 노출돼 있음이 드러났다"며 ▲사회전반의 인식변화를 위한지속적인 국민홍보와 인식개선 프로그램 마련 ▲각 영역별로 국가차원의 장애인 지원대책 마련 ▲법적대응이 가능한 장애인차별금지법 마련 등을 촉구했다. 한편 장애인 차별문제 해결을 위해 장애인들은 노무현 대통령이 장애인 관련 대선공약을 준수하고 장애인차별금지법을 제정할 것 등을 주문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기자 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