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계천변 성동구 하왕십리동 440 일대 10만여평의 '왕십리 뉴타운'이 벤처빌딩 등 상업시설이 둘러싸는 중저층 공동주택단지로 개발된다. 서울시는 강남북 균형 개발을 위해 '은평 뉴타운'과 '길음 뉴타운'에 이어 이같은 내용의 '왕십리 뉴타운 개발 기본 구상안'을 22일 발표했다. ◆ 동대문과 왕십리를 잇는 '도심형 커뮤니티' =왕십리 뉴타운은 청계천 복원 사업과 동대문운동장 공원화, 뚝섬숲 개발 등과 연계시켜 주거 업무 상업 공원 등이 어우러진 '도심형 커뮤니티'로 조성된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일반주거지역이 94%나 되는 이곳에 준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을 각각 15% 안팎으로 높일 계획이다. 뉴타운 중심구역에 위치할 주거시설의 경우 낮은 아파트가 들어서는 대신 용적률을 2백10% 정도로 높여 5~7층으로 건설할 예정이다. 주거지를 둘러싼 청계천변과 왕십리 도로 주변 상업지역과 준주거지역 등에는 세입자 독신자 등을 위한 주상복합형 고층 임대아파트와 벤처기업 등을 위한 오피스텔을 세우기로 했다. 기존의 주요 가로망을 최대한 살려 남북을 횡단하는 길이 6백m, 폭 22.5m(가운데 차도폭 8.5m)의 보행 가로공원을 조성하고 쌈지공원 5곳, 중앙광장 1곳도 짓는다. ◆ 사업은 순환재개발 방식으로 =개발 방식은 기본적으로 주민이 조합을 결성해 자력으로 개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상업지역에 대해서는 공영개발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또 상업지역에서 나오는 개발이익을 저층 개발로 상대적 불이익을 보는 주택단지 소유주에게 나눠주는 방안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이 지역 세입자 수가 전체 가구의 82%를 차지하는 점을 감안해 이주대책용으로 인근 시유지 1천4백평에 중층 고밀도 시범아파트를 지어 주민을 이주시키고 빈 땅에 순차적으로 사업을 벌이는 순환 재개발 방식을 도입키로 했다. ◆ 일정과 문제점 =서울시는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다양한 만큼 성동구청에 주민대표와 전문가 그룹을 추천할 것을 요구했다. 시는 기본구상안을 토대로 이들과 충분한 협의를 거쳐 6월께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9월 이후 도시계획절차를 거쳐 지구를 지정한 후 연내 사업에 착수한다는 목표다. 김병일 지역균형발전추진단장은 "주민들과의 협의만 조속히 끝난다면 당초 계획한 2008년까지 완공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길음 뉴타운과는 달리 이미 재개발 기대에 부풀어있는 왕십리 주민들이 이같은 중저층 공동아파트 개발 계획에 쉽게 응할지 의문이다. 대부분 주민들이 인근의 황학동 재개발아파트나 벽산아파트의 경우처럼 고밀도 개발을 염두에 두고 있기 때문에 시측 제안을 흔쾌히 수용할 가능성은 낮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김 단장은 "주민 반대를 무릅쓰고 사업을 추진할 이유는 없다"며 "왕십리 주민들이 서울시 계획을 수용할 의사가 없다면 뉴타운을 원하는 다른 지역으로 대체하는 방법도 있다"고 밝혔다. 임상택 기자 lim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