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2006.04.03 13:27
수정2006.04.03 13:29
'참여 정부'의 국무위원 가운데 재산규모가 10억원을 넘는 사람이 7명으로 집계됐다.
재산은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이 99억5천여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강금실 법무장관은 9억3천여만원의 부채를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무현 대통령은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적은 2억5백52만원을 신고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4일 노 대통령과 고건 총리를 비롯한 새 정부 장.차관 및 대통령 비서실 수석비서관 등 신규 재산등록자 34명(1급 3명 포함), 김대중 전 대통령 등 재산신고의무가 면제된 24명의 재산등록.변동신고 사항을 공개했다.
기존에 재산내역이 공개된 경우를 포함해 10억원 이상 재산보유자는 국무위원 7명과 청와대 수석.보좌관 6명 등 모두 13명이었다.
총리를 제외한 국무위원 19명의 평균 재산은 11억2백2만7천원, 이날 새로 공개한 국무위원 10명의 평균은 13억1천2백87만3천원이었다.
또 신규 등록한 청와대 비서실 수석.보좌관 10명의 재산 평균은 15억6백37만원이었다.
국무위원 평균재산은 DJ정부 첫 내각 17명(15억9천9백만원)보다 2억8천만원 정도 적다.
청와대 비서실의 수석.보좌관은 DJ 정부 초기(13억2천4백만원)보다 3천2백32만원이 많다.
신규등록자 가운데 최고 재력가는 진대제 정통부 장관으로 99억5천8백28만원을 갖고 있었다.
그 다음은 57억8천8백62만원을 신고한 김태유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이었다.
반면 강금실 법무장관은 마이너스 9억3천4백59만4천원, 김두관 행자부 장관은 마이너스 9백77만9천원을 신고했다.
한편 김대중 전 대통령은 아태재단 해산으로 노벨평화상금 등의 기부금을 반환받아 재산이 13억4천8백3만9천원 증가했다.
박기호 기자 khpar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