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북한.미국.중국간 3자회담이 별다른 성과없이 끝나 미 행정부내 강경파들의 목소리가 더 한층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영국 BBC 방송은 26일 "대북 강경책을 주장해온 국방부를 비롯한 미국의 매파 관료들이 3자회담후 국무부 등 온건파를 누르고 전면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대북 강경여론을 주도하고 있는 인물로는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이 대표적이다. 그는 3자회담이 시작되기 전부터 '정권교체가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라는 내용의 메모를 회람시키는 등 국무부의 대북 포용정책에 강한 반감을 표시해 왔다. 3자회담 미국측 대표를 선임하는 과정에서도 제임스 켈리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대신 강경파로 분류되는 존 볼튼 국무차관을 보내자고 주장, 콜린 파월 국무장관과 심한 언쟁을 벌이기도 했다. BBC 방송은 "3자회담 이후 강경파들은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의 유혹을 더욱 강하게 느끼게 될 것이고, 그러면 국무부와의 갈등은 더 심화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국무부 온건파들은 3자회담중 터져 나온 북한의 핵무기 보유 발언과 관련, "공갈 협박은 북한의 통상적 어법"에 불과하다면서 의미를 평가절하하고 있지만 국방부 강경파들은 이를 계기로 고립정책과 정권교체의 필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맞고 있다는 것이다. 이 방송은 "국무부 등 온건파들은 안전보장과 경제원조라는 당근을 제시, 북한이 핵 야욕을 포기토록 설득하고 있지만 세력을 키워가고 있는 강경파들을 처리해야 하는 또 다른 숙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미 국방부는 북한이 다른 불량 국가나 테러조직에 핵 물질을 수출하는 것을 막기 위해 북한 선박의 운항을 봉쇄하는 계획을 마련중이라고 영국 데일리 텔레그래프가 27일 보도했다. 쿠바 미사일 위기때 전술을 본떠 '쿠바형'으로 이름 붙여진 해상 봉쇄 계획은 베이징 3자회담 후 미국 정부의 첫 반응이다. 유영석 기자 yoo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