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보유 발언 파문과 사스(SARS.중증 급성호흡기 증후군) 확산 우려로 경제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이번주부터 경기종합대책 마련에 착수키로 했다. 지난 1.4분기 산업활동동향 결과가 발표(29일)되는 대로 거시경제점검회의를 열어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경기대책을 내놓을 방침이다. 정부는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금리 인하, 사스 피해가 우려되는 일부 산업에 대한 적극 지원 등을 검토 중이다. ◆ 북핵위기.사스확산 우려 북한이 핵무기를 이미 보유했다는 외신 보도 이후 주가와 환율 등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서 외국인들의 '셀(sell) 코리아'가 다시 시작된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사스의 국내 확산 가능성은 경제에 커다란 불안요인으로 등장했다. 박병원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장은 "사스 피해가 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인지는 예측하기조차 어렵다"고 말했다. 현재로서는 항공업계와 관광업계, 중국진출 업체 등 일부에서만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사스 국내전염이 확인되고 피해가 확산되면 그 여파는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28일부터 시작되는 미국 신용평가회사 S&P의 한국 신용등급 재평가에도 북핵 위기와 사스 확산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 뾰족한 대책없어 고심 정부는 미.이라크 전쟁 조기 종결과 국제유가 하락, 북.미.중 3자회담 성사로 외부 불안요인들이 어느 정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북핵 문제가 다시 꼬이고 사스 피해가 갈수록 확산될 기미를 보이자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주중 김영주 재경부 차관보 주재로 거시경제점검회의를 열어 사스와 북핵 문제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점검키로 했다. 그러나 사스의 진행방향을 예측하기가 어려운 데다 북핵 협상에서 한국 정부가 배제돼 있어 뾰족한 대책을 내놓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 추경예산 편성.금리인하 가능성 정부는 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추경예산 편성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정부 예비비만으로는 사스 확산을 막는데 어려움이 예상되는데다 민간소비 위축을 완화하는 차원에서도 추경 편성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금리 인하도 적극 검토할 방침이다. 김진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이미 "국제유가 하락으로 물가상승 부담이 완화됐다"며 "금리를 인하할 여지가 커졌다"고 강조하고 있다. 사스 피해를 입고 있는 민간업계에는 장기 저리자금 지원과 세금납부 연기 등 구체적인 지원대책을 내놓을 계획이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