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장관급회담] '核문구' 엎치락 뒤치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북은 28,29일 양일간 한차례 전체회의와 두차례씩의 수석대표,실무대표 접촉을 갖는등 마라톤 협상을 벌였다.
하지만 이번 회담의 최대 쟁점인 핵문제에 대해서는 양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섰다.
이에 따라 북측이 양보를 하지 않을 경우 회담 결렬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핵문제 보도문구 놓고 '엎치락 뒤치락'=우리측은 회담 마지막 날인 29일 평양 출발예정시간(오후 3시)을 연기하면서까지 "북한의 핵보유가 지난 92년 한반도비핵화 공동선언의 위반으로,'비핵화 공동선언의 책임과 의무를 이행한다'는 문구가 들어가지 않으면 공동보도문안에 서명할 수 없다"고 북측을 압박했다.
이에 대해 북측은 전날 회담장 밖에서는 핵문제와 관련해 진전된 내용을 보도문에 담을 수 있다는 분위기를 비쳤다.
그러나 북측은 하룻밤 사이에 입장을 바꿔 이날 아침엔 "핵문제는 북·미간의 문제이며 이를 대화로 풀어간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되풀이했다.
회담장에서 나온 남측 회담관계자는 "북측이 마련한 보도문에도 핵문제가 담겨 있다"면서 "그러나 북측 보도문의 핵문제와 관련된 표현이 우리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우리측 관계자는 "북측이 보도문 조율을 위한 연락관을 우리측에 보내와도 알맹이가 없으면 만나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경협등 교류협력문제 잠정합의=남북은 이산가족상봉 등 교류협력 사업에 대해 쉽게 합의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런 '합의'는 핵문제 타결을 전제로 한 것이다.
만일 핵문제가 풀리지 않으면 이산가족상봉등에 대한 합의는 물거품이 된다.
남북은 우선 7차 이산가족 상봉단 교환을 6·15공동선언 3주년을 즈음해 갖기로 합의했다.
양측은 남북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통일대축전'을 올해도 개최키로 했으며 오는 8월 대구에서 열리는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에 북한 대표단 참가문제도 의견접근을 봤다.
남북은 이와함께 경의선·동해선 철도 및 도로 연결행사와 개성공단 착공식을 조속히 치르기로 했다.
양측은 5차 경협추진위원회 및 제11차 장관급 회담 일정도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음 장관급 회담의 경우 6월말이나 7월초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양=공동취재단·권순철 기자
ik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