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자금 중남미ㆍ유럽으로 '대이동'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제자금이 중남미와 유럽으로 이동하고 있다.
중남미와 유럽이 사스 이라크전쟁 등과 같은 지정학적 위험이 없고 금리도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다.
국제금융 전문가들은 1일 "선진권과 신흥시장권에서 각각 새로운 자금흐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선진권의 경우 미국과 일본에서 빠져나온 자금이 유로존으로 흘러가고 있으며,신흥시장권에서는 홍콩 대만 한국 등 아시아에서 자금이 이탈해 브라질 멕시코 등 중남미로 대거 유입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유로화 가치는 지난 30일 4년만의 최고 수준인 유로당 1.1175달러까지 치솟는 등 미 달러화에 대해 초강세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브라질의 헤알화와 멕시코 페소화의 가치도 올 들어 최고 수준까지 상승했다.
◆사스 충격으로 중남미 대안론 급부상='사스(SARS·급성 중증호흡기증후군) 충격'이 국제자금의 이동방향을 바꾸고 있다.
이라크전쟁과 북핵위기 등의 영향으로 아시아에서 지정학적 위험을 느껴온 국제투자자금이 사스 공포까지 겹치자 브라질 멕시코 등 중남미 국가들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선진국 기관투자가들이 사스 공포로 아시아 국가들의 주식을 집중 매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브라질과 멕시코 증시는 이라크전 이전과 비교할 때 각각 15.18%, 8.01%씩 급등했다.
이는 사스 영향권인 홍콩과 대만의 증시가 각각 4.81%, 8.12% 하락한 것과 좋은 대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브라질의 경우 지난 1월1일 대통령에 취임한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의 시장친화적 경제정책이 큰 성과를 얻으면서 국제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고금리도 투자매력 요인으로 급부상=최근 몇개월간 국제금융시장의 가장 뚜렷한 흐름중 하나는 유로화의 강세기조다.
유로화 가치는 지난해 12월4일 달러화와 1대1의 등가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로화의 이같은 강세 현상은 미국 일본 등에 투자된 자금들이 유로존으로 흘러들어가는 증거라고 보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1일 미국 일본 등의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수준에 맴돌면서 상대적으로 금리가 높은 유로존 지역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독일 프랑스 등 유로존 주요국의 10년만기 국채 수익률은 지난 3월 중순 4%선을 넘어서 미국(3.845%) 일본(0.600%) 등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유럽증시가 상대적으로 저평가돼 있다는 점도 유로존으로 자금이 몰리는 또 다른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유럽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AIM유럽성장펀드의 제이슨 홀처 사장은 "중소형 주식을 비교할 때 유럽주식이 미국주식보다 20∼30%가량 싸다"며 "유럽주식이 상대적으로 미국보다 과매도된 상태"라고 말했다.
유럽증시가 최근 들어 미국증시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