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공정거래위원회와 국세청, 조달청, 관세청 등 4개 기관에 시범적으로 예산 자율편성권이 부여된다. 또 추가경정예산편성은 청년실업 등 경기부양 효과가 크고 올해 안에 실시될 수 있는 사업중심으로 이뤄질 전망이다. 박 장관은 2일 기자단 정례 브리핑을 통해 "국가 재원배분의 효율성을 높이고 부처의 예산 편성상 자율성을 확대하기 위해 공정위 등 4개 기관에 부처 자율 편성방식을 시범 실시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들 기관의 내년 주요 사업비 자율편성 요구한도는 올해 예산에서 공정위 4%, 국세청 6%, 관세청 9% 등의 증가율 범위내로 제한하며 조달청은 자체 세입범위 안에서 요구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율편성방식을 적용하는 예산의 범위는 주요 사업비 전체로 하되, 정보화 예산과 부정기적인 국제행사는 제외하기로 했다"며 "이들 기관이 이달 31일까지 예산 요구안을 작성해 제출하면 부처안 대로 편성하겠다"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이번 시범실시가 예산처와 각 부처의 전문성을 극대화 해 예산편성시스템을 개선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각 부처는 사업별 우선순위를 자율적으로 결정해 예산을 절약하고 책임성도 강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 장관은 추경편성과 관련, "추경편성은 아직 방침도 결정되지 않아 규모를 이야기할 단계는 아니다"며 "만약 추경편성이 이뤄진다면 경기부양 효과가 크고 올해안에 추진할 수 있는 사업 중심으로 편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청년실업이 지난해보다 높아지고 있어 추경편성이 결정된다면 청년실업예산도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다"며 "추경편성은 이달 중순 1.4분기 경제운영결과를 보고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아울러 공기업 민영화에 대해 "유찰된 남동발전 등 한전 발전부문 민영화는 계획대로 계속 추진하되 배전이나 송전부문 등은 여러 방면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역난방공사는 법원에 계류중인 소송이 끝나면 민영화를 재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기자 daeho@yna.co.kr